외국인, 다문화 인구 25% 증가.. 꾸준히 늘어

  • 등록 2023.07.28 13:00:51
크게보기

'2022년 인구주택조사 결과' 내국인은 줄고 외국인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다

사진출처=통계청

▲ 사진출처=통계청

 

한국다문화뉴스 = 소해련 기자 | 우리나라 인구가 빠르게 내국인은 줄고 외국인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구는 2017년보다 25% 넘게 증가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9만 2000명(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전년 대비 4만 6000명 감소했다. 2년 연속 인구가 줄었다. 연평균 인구증감률은 2022년 -0.1%로 2021년부터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인구가 16.6%(858만 9000명)로 가장 많다. 이어 40대 15.6%(806만 6000명), 60대 14.2%(732만 1000명) 순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생산연령인구(15~65세)가 줄고 있다. 

 

노령화지수는 156.1로 2017년(107.3) 대비 48.8이나 대폭 커졌다.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도 여전했다. 수도권이 총인구의 50.5%(2612만 4000명)를 차지했다. 영남권은 24.5%(1267만 4000명)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전년 대비 인구증가율이 큰 시·도는 세종(4.5%), 인천(1.1%), 충남(0.8%) 등이다.

 

외국인 인구와 다문화 가구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총인구 중 내국인은 4994만 명(96.6%), 외국인(3개월 이상 거주)은 175만 2000명(3.4%)이다. 1년 전보다 내국인은 14만 8000명(-0.3%) 줄어든 반면 외국인은 10만 2000명(6.2%) 증가했다.

 

외국인을 성별로 보면 남자 96만 9000명(55.3%), 여자 78만 4000명(44.7%)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18만 5000명 많다. 국내에 상주한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한국계)이 30.1%(52만 7000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베트남 11.9%(20만 9000명), 중국 11.7%(20만 4000명), 태국 9.3%(16만 3000명) 등이다.

 

지난해 다문화 가구는 39만 9000가구로 2017년 대비 25.2% 급증했다. 전년 대비로는 3.7% 늘었다. 다문화 가구는 귀화자가 있는 가구 또는 외국인이 한국인(귀화자 포함)과 혼인으로 이루어진 가구 또는 그 자녀가 포함된 가구를 말한다.

소해련 기자 shryun209@hanmail.net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원로39 월드타워 304호 | 대표전화 : 031-406-1170 | 발행법인 : 주식회사 몽드 | 발행인 대표이사 : 강성혁  등록일 : 2013년 5월 13일 | 정기간행물번호 : 경기 다50353 | 인터넷신문 : 경기 아 51486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 정영한 / TEL : 031-352-1175 / sdjebo2@naver.com 한국다문화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한국다문화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2021 한국다문화뉴스. all right reserved.  | sdjebo@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