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KOSPI, 3.6% 급락하며 2,460선 후퇴
국내 증시는 급락세를 보이며 한 주를 마감했다. 코스피(KOSPI)는 전주 2,558포인트에서 93포인트(-3.6%) 하락한 2,465포인트로 마감했다.
주봉 기준으로 하락 반전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하방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일봉 기준으로도 하방 압력이 지속되며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모습이다.
S&P 500, 9.1% 급락… 5,100선 붕괴
미국 S&P 500 지수는 전주 5,581포인트에서 507포인트(-9.1%) 하락한 5,074포인트로 마감했다.
주봉 기준으로 가파른 하락세가 이어지며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고, 일봉상에서도 일시적 반등이 무너지고 하락 반전 흐름이 뚜렷해졌다.
상해종합지수, 0.3% 하락하며 3,340선 유지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전주 3,352포인트에서 10포인트(-0.3%) 하락한 3,342포인트를 기록했다.
주봉 기준으로 하방 압력이 꾸준히 작용하고 있으며, 일봉 기준으로는 3,300포인트 부근에서 혼조세를 보이며 지지력을 시험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 뉴스]
미국, 전면 관세 부과… 한국에 25% 상호관세 적용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한국에는 25%의 상호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 조치는 5일부터 시행되며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을 주고 있다.
중국,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 희토류 수출 통제 시사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예고하고, 희토류 수출을 제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중 간 무역 갈등이 한층 심화되는 양상이다.
[정치·외교 뉴스]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정국 혼란 심화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다. 정치권은 조기 대선을 바라보며 바삐 움직이고 있다
러시아, 미국의 우크라이나 휴전 제안 거부
러시아는 미국의 휴전 제안을 거절했으며, 에너지 안보와 외교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이스라엘, 가자지구 공습 확대… 중동 긴장 고조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이 확대되며, 중동 지역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유가 변동성과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 뉴스]
미얀마 강진… 광범위한 피해 발생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국제 사회는 긴급 구호를 지원 중이다.
의대생 복귀 본격화… 의료 시스템 정상화 기대
의대생들이 복귀하면서 의료 현장의 정상화가 기대된다. 그간의 공백으로 인한 부담이 점차 완화될 전망이다.
틱톡, 미국 내 사업 매각 중단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이 성사 직전에서 보류되면서, 다시 한번 규제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OpenAI, 개방형 AI 모델 출시 임박
OpenAI가 조만간 개방형(오픈소스) AI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기술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상품시장 동향]
S&P 500 변동성 지수(VIX)
S&P 500 변동성 지수는 45.3으로 급등하며 시장 불확실성을 반영했다.
국제유가(WTI)
WTI 가격은 61.9달러로 하락했다. 경기 둔화와 소비 감소 전망이 유가를 압박했다.
채권시장 동향
-
한국 국채(2년): 2.535%, (10년): 2.740%
-
미국 국채(2년): 3.644%, (10년): 4.000%
금리 역전 현상이 지속되며 안전자산 선호가 뚜렷하다.
원/달러 환율
원/달러 환율은 1,458원으로 상승 마감했다. 정치 리스크와 달러 강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주간 종합 코멘트
이번 주 금융시장은 미중 무역갈등, 대통령 파면,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 다양한 악재로 인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다음 주도 트럼프의 입과 무역 분쟁 전개 등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투자자들은 방어적 전략과 함께 정책 변화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