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Kung hindi mo dala ang iyong pagkakakilanlan(ID) kapag pupunta sa Ospital o Parmasya ikaw ay magbabayad ng buong halaga ng Medikal na gastusin.

병원, 약국 갈 때 신분증 안 가져가면 진료비 전액 부담

 

Simula Mayo 20, kailangan na dalhin ang iyong pagkakakilanlan(ID) kapag ikaw ay bibisita sa ospital at parmasya. Kung ang pasyente ay hindi magdadala ng pagkakakilanlan(ID), ang pasyente ay hindi saklaw ng health insurance at kailangang bayaran ang buong halaga ng medikal na gastusin.

 

Maaaring gamitin ang ID card para patunayan ang iyong pagkakakilanlan, gaya ng resident registration card o driver's license, at maaari din gamitin ang health insurance card, passport, national veterans registration card, disabled person registration card, alien registration card, o permanent residency.

 

Maaring gamitin anumang sertipiko o dokumentong inisyu ng isang administratibong ahensya o pampublikong institusyon na naglalaman ng larawan kasama ang iyon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 alien registration number na nagpapatunay na ang iyong pagkakakilanlan.

 

Hindi pinahihintulutan ang mga ID card, mga kopya ng ID card, mga sertipiko o mga dokumentong lumampas sa petsa ng bisa nito, o mga bagong pasaporte na kinunan ng larawan. Ang bagong pasaporte ay hindi kasama ang mga huling numero n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kaya kailangan ng sertipikong imporyamsyon ng pasaporte para kilalanin ang bagong pasaporte bilang balidong pagkakakilanlan(ID).

 

Ang sistema ay binago upang maiwasan ang kamakailang pagdami ng mga kaso ng iligal na paggamit ng health insurance, tulad ng pagpapahiram o pagnanakaw ng health insurance gamit ang pangalan ng ibang tao. Ang isa pang layunin ay upang maiwasan ang paggamit sa pananalapi ng health insurance at maiwasan ang pag-abuso sa droga at mga aksidente sa droga gamit ang mga dokumento at pagkakakilanlan ng ibang tao.

 

Kung naiwan mo ang iyong ID card, maaari mong gamitin ang mobile health insurance card app upang suriin ito, ang mga wala pang 19 taong gulang at mga pasyente na nasa agarang pangangalaga ay maaaring gamitin ang kanilan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pang patunayan ang kanilang pagkakakilanlan kahit walang ID card.

 

Kung hindi ka saklaw ng health insurance dahil sa kakulangan ng ID at kailangang bayaran ang buong halaga ng medikal na gastusin, maaari kang muling makipagkasundo sa halagang saklaw ng health insurance sa loob ng 14 na araw sa pamamagitan ng pagdadala ng iyong ID card, resibo ng bayad sa medikal na gastusin, at iba pang mga dokumento na hiniling ng institusyong medikal.

 

Samantala, kung kailangan mo ng agarang medikal na pangangalaga, maaari kang bumisita pagkatapos suriin ang E-Gen. Sa kaso ng isang agarang pangangalaga, pinakamahusay na suriin nang maaga ang impormasyon sa mga bukas na pangkalahatang ospital sa pamamagitan ng Emergency Medical Portal (E-Gen).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자넷 시민기자ㅣ5월 20일부터 병원과 약국을 방문할 때 신분증을 꼭 가져가야 한다. 신분증을 가져가지 않으면 환자가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진료비 전액을 부담해야한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명서이며, 건강보험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영주등도 가능하다.

 

행정기관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이면서 사진이 붙어있고 주민등록번호 또는 외국인등록번호가 포함되어 본인임이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또는 서류면 가능하다.

 

신분증을 촬영한 사진이나 신분증 사본, 유효기간이 지난 증명서나 서류, 신여권은 불가능하다. 신여권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기재되지 않아, 여권 정보 증명서가 있어야 신여권이 신분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최근 늘어난 다른 사람 명의로 건강보험을 대여하거나 도용하는 부정수급 사례를 예방하고자 제도가 변경됐다. 또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막고 타인 신분증명서 등을 이용한 약물 오남용, 마약류 사고를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다.

 

만약 신분증을 두고 왔다면, 왔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으로 대신 확인 가능하며, 19세 미만, 응급환자는 신분증 없이 주민등록번호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다.

 

신분증이 없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진료비 전액을 부담했다면, 14일 이내 신분증과 진료비 영수증 등 기타 요양기관이 요구한 서류를 지참하면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다시 정산이 가능하다.

 

한편, 응급의료가 필요할 때 E-Gen 확인 후 방문하면 된다. 응급 상황이라면 응급의료포털(E-Gen)을 통해 문 여는 상급종합병원의 정보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배너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성남시가족센터, 다문화 자녀 대상 ‘아주대 학과체험’ 진로직업 교육 8월 2일 운영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8월 2일 토요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후 7시까지 경기 수원 소재 아주대학교에서 다문화가정 학령기 자녀 15명 (고교 1학년부터 3학년)을 대상으로 진로직업 체험 교육 ‘아주대학교 학과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전했다. 이 프로그램은 패밀리넷을 통해 신청을 받은 후, 참여 대상자에게 센터에서 접수 확인 전화를 통해 확정 연락을 진행한다. 참가 학생들은 12교시 동안 미래모빌리티공학과와 첨단바이오융합대학에서 교수의 강의를 듣고, 이어지는 34교시에는 문화콘텐츠학과와 간호학과를 체험하며 대학의 교수법과 전공 실무를 간접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학교 교육만으로 접하기 어려운 대학 강의 및 실습 환경을 제공하여, 자신만의 진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계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아주대학교는 지난해에도 고등학생 대상 학과체험 을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전공 이해 확대와 진학 준비에 기여해 온 바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히 다문화 학생들이 대학 진학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학과 선택의 폭을 넓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질문이나 추가 안내가 필요한 경우, 참가를 희망하는 다문화가정은 패밀리넷 신청 후 가족

성남시가족센터, 다문화 학생 대상 진로직업 체험 ‘은행원’ 프로그램 7월 29일 운영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7월 29일 화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2시 30분까지 신한은행 명동 영업점 내 체험관에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다문화가정 학령기 자녀 15명을 대상으로 ‘진로직업 체험교육(은행원)’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 진로설계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실제와 유사한 은행 업무 환경에서 은행원과 고객 역할을 직접 수행하며 금융 직업에 대한 이해와 진로 탐색 기회를 얻도록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은행원 직업 강의를 듣고, 은행원의 일일 역할을 체험 하는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과 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무 체험은 학교 교육만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콘텐츠로,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미래 직업을 설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신청은 센터의 패밀리넷을 통해 접수하며, 신청자에게는 센터에서 개별 연락을 통해 접수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은 패밀리넷을 통한 신청이 후 가족성장팀(031-756-9327, 내선 1번)으로 문의하면 된다.

성남시가족센터, 다문화 자녀 대상 ‘조선일보 뉴지엄 기자단’ 진로체험 8월 1일 운영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 는 2025년 8월 1일 금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에듀 조선이 운영하는 조선일보 뉴지엄 (서울 중구)에서 다문화가정 학령기 자녀 15명을 대상으로 ‘진로직업 체험교육(조선일보 뉴지엄 기자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조선일보 편집국을 견학하고 기자 체험을 통해 언론 분야 진로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쌓도록 마련됐다. 체험은 조선일보 본사 편집국 방문, 뉴지엄 미디어 체험관 견학, 기 사 작성법 특강, 팀별 기사 제작 체험, 자신의 진로 신문 제작 등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참여학생 전원에게는 청소년 기자단 수료증이 수여되며 우수팀은 어린이조선일보에 실제 게재되는 기회도 주어진다. 이번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학교 교과 과정으로 접하기 어려운 실무 환경을 직접 경험하고, 언론 계열 직업에 대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는데 방점이 있다. 센터 관계자는 “학생들이 취재와 기사 작성 경험을 통해 진로 목표를 구체화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청은 성남시가족센터가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패밀리넷’ 을 통해 접수되며, 접수 완료 후 가족성장팀(031-756-9327, 내선 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