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0.6℃
  • 구름조금강릉 8.8℃
  • 맑음서울 4.9℃
  • 박무대전 2.5℃
  • 박무대구 3.7℃
  • 맑음울산 8.9℃
  • 박무광주 6.5℃
  • 맑음부산 10.7℃
  • 맑음고창 2.5℃
  • 구름조금제주 12.2℃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0.9℃
  • 맑음금산 1.2℃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3.1℃
  • 맑음거제 7.7℃
기상청 제공

Pinagmulan at Kahulugan ng Mayo 1 Araw ng Manggagawa

5월 1일 근로자의 날의 유래와 의미

 

1889. Ang Araw ng Manggagawa ay nagmula sa Estados Unidos. Noong panahong iyon, mahirap ang kapaligiran sa pagtatrabaho sa Estados Unidos at mababa ang suweldo, kaya nasa mahirap na sitwasyon ang mga manggagawa. Hindi lamang sa Estados Unidos, kundi maging sa kalagitnaan ng ika-18 siglo, pagkatapos ng Rebolusyong Industriyal sa Inglatera, naimbento ang makina at binago ng binagong lipunan ang kapaligiran ng paggawa sa pamamagitan ng paghahati ng uri sa mga manggagawa at kapitalista na umupa ng mga manggagawa sa buong mundo.

 

Pagmamay-ari ng mga kapitalista ang paraan ng produksyon at pinagsamantalahan ang paggawa ng mga manggagawa, na pinipilit silang magtrabaho ng hanggang 18 oras sa isang araw sa matinding kaso. Nagsimulang maghirap ang mga manggagawa dahil sa mahihirap na kondisyon sa pagtatrabaho at labis na oras ng pagtatrabaho. Noong 1884, nagpasya ang mga organisasyong manggagawang Amerikano na magwelga para magkaroon ng walong oras na araw ng pagtatrabaho, at pagkaraan ng mga dalawang taon, Mayo 1, 1886, ay itinakda bilang unang araw ng demonstrasyon.
 
Noong Mayo 1, 1886, ang unang araw ng protesta, sumiklab ang mga welga sa buong Estados Unidos. Gayunpaman, noong ika-3 ng Mayo, sumiklab ang mga sagupaan sa pagitan ng pulisya at mga manggagawa sa panahon ng mga protesta sa Chicago, na humantong sa pagdanak ng dugo. Humingi ng kooperasyon ang mga kapitalista sa pulisya upang pigilan ang mga manggagawa sa pagkakaisa at negatibong ibinalita ang welga sa pamamagitan ng media. Sa prosesong ito, pinaulanan ng mga pulis ng bala ang mga nagwewelga na manggagawa, na ikinamatay ng apat at nasugatan ang ilan pa, at isang bombang ibinato ng isang tao ang ikinasugat ng 70 pulis at pito ang namatay.
  
Upang gunitain ito sa ibang pagkakataon, ang founding convention ng Second International ay ginanap sa Paris noong 1889. Noong ika-1 ng Mayo, ▲Itigil ang makina ▲Nag-organisa ng pakikibaka para sa pagbawas sa oras ng trabaho ▲Ang mga manggagawa ng lahat ng bansa ay nagkakaisa upang mag-welga ng alyansa upang manalo sa karapatan ng mga manggagawa Idineklara itong isang araw para magsagawa ng tatlong resolusyon ng pagkakaisa para kumilos.
  
Ang unang Araw ng Manggagawa ay ginanap noong Mayo 1, 1890, at mula noon, ang Mayo 1 ay ipinagdiriwang bilang Araw ng Manggagawa sa maraming bansa sa buong mundo. Gayunpaman, sa ilang bansa, ang isang araw maliban sa Mayo 1 ay itinakda bilang Araw ng mga Manggagawa upang maiwasan ang mga welga at demonstrasyon ng mga manggagawa araw-araw. Ito ang unang Lunes ng Setyembre sa Estados Unidos at Canada, ika-23 ng Nobyembre sa Japan, at ikaapat na Lunes ng Oktubre sa New Zealand.
 
Noong 1923 ang Araw ng Paggawa ay ipinagdiriwang sa unang pagkakataon sa Korea. Mula 1958 hanggang 1993, ang Araw ng Paggawa sa Korea ay tuwing Marso 10, at noong 1963, ang pangalan ay pinalitan ng Araw ng Manggagawa. Noong 1994, ang Araw ng Manggagawa, na noong Marso 10, ay binago sa Mayo 1, at itinalaga din ng Republika ng Korea ang Mayo 1 bilang Araw ng Manggagawa.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데스 시민기자ㅣ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날인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1889년 7월 결정됐다. 근로자의 날은 미국에서 유래했다. 당시 미국의 노동환경은 열악했고 보수도 작아 노동자들이 힘든 상황이었다. 미국뿐 아니라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 이후 기계가 발명되며 바뀐 사회의 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자와 노동자를 고용하는 자본가로 계급을 나누어 노동환경을 바꾸어놓았다. 


자본가들이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노동자의 노동을 착취하며 심하면 하루 최대 18시간까지 노동시켰다. 열악한 노동환경과 지나친 노동 시간 등으로 노동자는 투쟁을 시작했다. 1884년 미국 노동단체들은 노동 시간을 8시간으로 실현하기 위해 파업을 결의하고 약 2년 뒤인 1886년 5월 1일을 1차 시위의 날로 정했다.

 시위 첫날인 1886년 5월 1일 미국 전역에서 파업이 일어났다. 그러나 5월 3일 시카고의 시위에서 경찰과 노동자 간 충돌이 발생해 유혈사태까지 번지게 되었다. 자본가들은 노동자의 연대를 막기 위해 경찰에 협조를 구하고 언론을 통해 파업을 부정적으로 선전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파업 중인 노동자들에게 실탄을 발사해 4명이 죽고 여러 명이 다치거나, 누군가 던진 폭탄으로 경찰 70명이 다치고 7명이 숨지는 등의 유혈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1890년 5월 1일 첫 번째 근로자의 날이 개최되고 이후 세계적으로 여러 나라에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는 근로자의 날마다 벌어지는 파업과 시위를 방지하고자 5월 1일이 아닌 다른 날을 근로자의 날로 정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는 9월 첫째 월요일, 일본은 11월 23일, 뉴질랜드는 10월 넷째 월요일이다.

 

추후 이를 기념하기 위해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는 5월 1일은 ▲기계를 멈추다 ▲노동 시간 단축을 위한 투쟁을 조직하자 ▲만국의 노동자가 단결하여 노동자의 권리 쟁취를 위해 동맹파업을 행동하자는 세 가지 연대 결의를 실천하는 날로 선언했다.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노동자의 날을 기념한 것은 1923년이었다. 1958년부터 1993년까지 한국의 노동절은 3월 10일 이었고 1963년에 와서 명칭이 근로자의 날로 바뀌게 됐다. 1994년 3월 10일이던 근로자의 날을 5월 1일로 개정하며 대한민국도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지정하게 됐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국내적응 프로그램 성료

양평군가족센터(센터장 박우영)는 2025년도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된 국내 적응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와 지역 문화를 이해하고, 지역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1월 7일 진행된 올해 마지막 프로그램은 지평장공장 고추장 만들기 체험으로, 참가자들은 전통 장류의 제조 과정을 배우고 직접 고추장을 담그며 한국의 식문화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였다. 올해 국내 적응 프로그램은 상·하반기로 나뉘어 운영됐다. 상반기에는 △공예박물관 관람 및 김치 만들기 △강릉 오죽헌 탐방을 통해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생가를 방문하며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 화폐의 역사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하반기에는 △양평친환경로컬푸드의 지원으로 진행된 한국어 수준별 로컬푸드 요리체험 △여주 목아박물관 방문 △경기공예페스타 가죽공예 체험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이어졌다. 박우영 센터장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의 문화와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활동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

광양시가족센터, 다문화부부 위한 합동결혼식 열어

전라남도 광양시가족센터는 지난 4일 금호동 백운플라자 레스토랑에서 경제적 사정이나 여건상 예식을 올리지 못했던 다문화부부 두 쌍을 위한 합동결혼식을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포스코 프렌즈봉사단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지난 2007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광양시가족센터는 다문화가정에 소중한 추억을 선물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결혼식은 광양창의예술고등학교 관현악부의 축하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 포스코 광양제철소 고재윤 소장의 주례와 혼인서약, 성혼선언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으며, 광양시립합창단 서지명 테너의 축가와 신부의 우즈베키스탄 전통춤 공연이 더해져 서로의 문화가 어우러진 따뜻한 무대가 펼쳐졌다. 주례를 맡은 고재윤 포스코 광양제철소장은 “결혼은 사랑을 매일 실천하는 약속”이라며 “오늘 이 자리가 부부들에게 평생의 행복으로 남길 바란다”고 축하의 말을 전했다. 이주화 광양시가족센터장은 “다문화가정이 지역사회 속에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진정한 가족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희 광양시 여성가족과장은 “이번 합동결혼식이 다문화부부에게 소중한 추

양평군가족센터, 결혼이민여성 대상 ‘당당한 나 만나기!’ 프로그램 운영

양평군가족센터(센터장 박우영)는 한국 거주 3년 이상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 당당한 나 만나기!’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10월 23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11월 6일까지 총 5회기에 걸쳐 진행됐다. 결혼이민여성 6명이 참여해 △개인 강점과 장점을 탐색해 자존감을 높이는 세션 △‘10년 후의 나에게 보내는 타임캡슐’ 제작 △아로마 명상 테라피를 통한 내면의 평화와 소통 능력 강화 △‘건강한 나를 위한 요리 꿀팁!’ 체험 등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박우영 센터장은 “결혼이민여성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해 삶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센터의 역할”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이 자기이해와 미래설계 역량을 키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양평군가족센터는 앞으로도 결혼이민여성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