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0.0℃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1.0℃
  • 구름많음대구 1.5℃
  • 구름많음울산 1.1℃
  • 흐림광주 1.1℃
  • 구름많음부산 1.9℃
  • 흐림고창 -2.1℃
  • 구름조금제주 4.5℃
  • 맑음강화 -4.0℃
  • 맑음보은 -2.4℃
  • 구름많음금산 -1.2℃
  • 맑음강진군 1.6℃
  • 구름많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2.6℃
기상청 제공

保健所で受けられる特典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

 

保健所には知っておくと役に立つ特典がたくさんある。 保健所の特典は地域住民の慢性疾患および健康危険要因を早期に発見して治療し管理するためだが、保健所の健康診断費用は5千ウォン~6千ウォン台であり、中高年や世帯主など特定要件に応じて無料で健康診断を行うこともある。

 

保健所によって予備夫婦健康診査、または新婚夫婦健康診査と明示しているが、低コストで基本検査の他に風疹、性病、B型肝炎、血糖などの項目を検診することができるため、結婚予定か新婚夫婦に良い反響を得ている。

 

この時、身分証と共に結婚式場契約書、招待状、婚姻関係証明書、謄本など予備夫婦または新婚夫婦ということを立証できる準備物も必ず持って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

 

保健所の産前検査は地域によって価格が異なる場合があり、無料で進行するところもあるので、該当保健所の恩恵を受けようとする場合、総費用と必要書類などを事前に問い合わせてみなければならない。

 

産前検査の他にも妊娠反応検査を提供する。 また、腹部超音波検査、妊娠性糖尿や貧血検査、胎児血清奇形児検査などを無料で受けることができる。

 

最近は高齢者のための保健所の特典が徐々に増えているが、満65歳以上の高齢者の場合、骨粗鬆症検診のための骨密度検査を無料で受けることができる。

 

認知症管理の場合、選別検査および診断検査などの早期検診は60歳以上の高齢者なら全額支援を受けることができ、認知症高危険群に属する場合は訪問集中検診などを実施しているが、もし認知症関連サービスや様々な活動プログラムに参加したい場合は地域内の保健所認知症支援センターを訪問すれば良い。

 

保健所は住民の健康増進のために肥満、高血圧、糖尿のような慢性疾患の診断および管理を受けられるようにしているが、インボディ機械を通じて血圧、空腹血糖、腹部回り、中性脂肪、コレステロールなどを測定することができ、医師や栄養士、運動士などの専門家の相談と総合的な処方を受けることもできる。

 

ただし、すべての保健所が同じ特典を提供するわけではないので、詳細は地域内の保健所を通じて確認しなければならない。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유미코 시민기자ㅣ보건소에는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혜택들이 많다. 보건소 혜택은 지역 주민들의 만성질환 및 건강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고 관리하기 위함인데 보건소 건강검진 비용은 5천 원~6천 원대며, 중·장년이나 가구주 등 특정 요건에 따라 무료로 건강검진을 진행하기도 한다.

 

보건소에 따라 예비부부 건강검진, 또는 신혼부부 건강검진이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저렴한 비용으로 기본 검사 외에 풍진, 성병, B형 간염, 혈당 등의 항목을 검진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결혼 예정이거나 신혼부부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때, 신분증과 함께 예식장 계약서, 청첩장, 혼인관계증명서, 등본 등 예비부부 또는 신혼부부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준비물도 꼭 챙겨가야 한다.

 

보건소 산전검사는 지역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고, 무료로 진행하는 곳도 있으니, 해당 보건소 혜택을 받고자 한다면 총비용과 필요 서류 등을 미리 문의해보아야 한다.

 

산전검사 외에도 임신반응 검사를 제공한다. 또 복부 초음파 검사, 임신성 당뇨나 빈혈 검사, 태아 혈청 기형아 검사 등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노인들을 위한 보건소 혜택이 차츰 늘고 있는데, 만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골다공증 검진을 위한 골밀도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치매 관리의 경우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 등의 조기 검진은 60세 이상 노인이라면 전액 지원받을 수 있으며, 치매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찾아가는 집중 검진 등을 실시하고 있는데, 만약 치매 관련 서비스나 여러 가지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면 지역 내 보건소 치매 지원 센터를 찾아보면 된다.

 

보건소는 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비만, 고혈압, 당뇨 같은 만성질환을 진단 및 관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인바디 기계를 통해 혈압, 공복 혈당, 복부 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의사나 영양사, 운동사 등 전문가들의 상담과 종합적인 처방을 받을 수도 있다.

 

다만 모든 보건소가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자세한 내용은 지역 내 보건소를 통해 확인해봐야 한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안성시 가족센터, 온가족보듬사업 추진을 위한 ‘보듬매니저 양성교육’ 실시

안성시 가족센터(센터장 임선희)는 여성가족부 사업인 ‘온가족보듬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보듬매니저 양성교육’을 실시했다고 3월 18일 밝혔다. 온가족보듬사업은 여성가족부가 2024년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취약·위기가족을 포함해 다양한 가족들에게 상담, 사례관리, 자조모임,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통합 지원 사업이다. 보듬매니저는 사례관리 대상자를 직접 지원하는 돌봄 전문가로서, 학습지도, 심리·정서 지원, 생활 도움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양성교육은 3월 8일부터 15일까지 총 25시간에 걸쳐 진행됐으며,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온라인 교육(18시간)과 가족센터 자체 교육(8시간)으로 구성됐다. 이번 교육을 수료한 보듬매니저들은 4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해 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안성시 내 아동 돌봄 및 가족 지원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선희 안성시 가족센터장은 “보듬매니저 채용을 통해 안성 지역 내 돌봄 지원이 더욱 확대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사회 내 가족 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평택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녀 대상 대학생 멘토링 발대식 진행

평택시가족센터는 지난 15일 10시, 센터 다목적실에서 다문화가족 자녀 ‘도란도란 짝꿍 멘토링’ 발대식을 진행했다. 발대식에는 관심 분야에 따라 매칭된 평택 생활권 대학생 10명, 다문화가족 자녀 10명이 참여했다. 매칭된 멘토와 멘티는 참여동기를 공유하고 한해 멘토링 계획을 수립하는 시간을 가졌다. 멘토와 멘티는 이날부터 학습지도, 심리 정서 지원 등 주 1회 멘토링 활동을 진행하며 향후 문화 체험 등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참여하게 된다. 센터는 사전행사로 멘토 대상 멘토링 사전교육을 진행해 멘토가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하고 멘토링에 대한 이해를 높여 원활한 멘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옆 강의실에서는 멘티를 대상으로 학습전략검사 기반 결과 해석 활동을 진행해 향후 멘티의 학습 방향 설정 및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했다. 김성영 센터장은 인사말에서 “학교생활 선배인 멘토들이 1년 동안 멘티들을 잘 이끌어주어 멘티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길 바란다. 멘티들도 멘토를 잘 따라 선배들의 노하우를 잘 배우기를 바란다”라며 멘토링 참여자를 격려했다.

안성시가족센터, 1인가구 지원사업 생활꿀팁 바구니 ‘꿀단지 1기’ 프로그램 중장년 참여자 모집

안성시가 위탁 운영하는 안성시가족센터(센터장 임선희)가 중장년 1인가구(40~64세)를 대상으로 ‘생활꿀팁 바구니-꿀단지 1기’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중장년층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 정보를 배우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분야별 생활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실습형 교육으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일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 꿀팁을 배우고, 직접 기술을 익히는 시간을 갖는다. 이를 통해 실용적인 정보 습득뿐만 아니라, 참가자 간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참가자 모집은 3월 14일부터 3월 21일까지 진행되며, 총 1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4월 2일부터 4월 23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총 4회에 걸쳐 운영된다. 각 회차마다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실습 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안성시 가족센터 누리집에서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가족센터 누리집 또는 홍보 포스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