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Đại Hàn Dân Quốc áp dụng 'tuổi thật', tính theo ngày sinh thì '0 tuổi', cứ mỗi sinh nhật lại thêm 1 tuổi.

대한민국 ‘만 나이’ 적용, 출생일 기준 ‘0살’ 생일마다 1살 더해요.

 

Từ ngày 28 tháng 6, Hàn Quốc đã thống nhất tuổi tác xã hội và pháp lý thành "tuổi thật". Có ba loại tính tuổi được sử dụng trong nước hiện có: tuổi, tuổi thật và tuổi theo năm sinh. Trong xã hội thông thường, tuổi được sử dụng để hỏi tuổi nói chung là 1 tuổi kể từ ngày sinh ra ở độ tuổi đếm.

 

Sau đó, cứ đến ngày 1 tháng 1 năm mới lại là cách tăng thêm 1 tuổi. Tuy nhiên, trong trường hợp sinh nhật của mình là 31 tháng 12, ngay khi vừa được sinh ra đã chuyển sang năm tiếp theo từ 1 tuổi và đến 2 tuổi.

 

Mặt khác, tính tuổi bắt đầu từ ngày sinh nhưng tuổi thì không. Sinh nhật đến một năm thì coi như là một tuổi. Đây là phương thức phổ biến trên toàn thế giới và cũng đã được áp dụng trong một số luật về dịch vụ hành chính.

 

Nếu phương pháp tính tuổi thật là trước sinh nhật năm nay, bạn có thể trừ 1 trong năm sinh này. Nói cách khác, năm nay là năm 2023 và nếu sinh năm 1992 thì sẽ là 2023-1992-1=30 tuổi. Nếu sinh nhật năm nay đã qua, bạn có thể bỏ năm sinh ra 2023-1992 = 31 tuổi.

 

Cũng có những ngoại lệ không thống nhất ở tuổi thật. Tuổi đi học, nghĩa vụ quân sự, tuổi mua thuốc lá và rượu theo luật bảo vệ thanh thiếu niên, tuổi thi công viên chức. Chính phủ cho rằng vì độ tuổi đi học là chế độ năm học nên việc tăng năm học theo đơn vị 1 năm là đúng đắn.

 

Do đó, trường tiểu học bắt đầu nhập học từ ngày 1 tháng 3 năm sau khi tròn 6 tuổi. Năm 2023, sinh năm 2016 và năm 2024, sinh năm 2017 được nhập học. Độ tuổi mua rượu và thuốc lá có thể được bán dựa trên độ tuổi 'năm hiện tại - năm sinh' bất kể sinh nhật của bạn đã qua hay chưa.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응우옌 티 프엉 시민기자ㅣ대한민국은 6월 28일부터 사회적, 법적 나이를 ‘만 나이’로 통일한다. 기존 대한민국 국내에서 쓰는 나이 계산은 3가지로 나이, 만 나이, 연 나이가 있다. 평소 사회에서 나이를 물어볼 때 쓰는 나이는 보편적으로 세는 나이로 태어난 날부터 1살인 나이를 말했다.

 

그 후 새해 1월 1일이 될 때마다 1살을 더하는 방식이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생일이 12월 31일인 경우 태어나자마자 1살에 다음 해로 넘어가며 2살이 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반면 출생일을 기점으로 나이를 세는 만 나이는 그렇지 않다. 생일이 돌아와서 1년이 되어야 1살로 보는 것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방식이며 행정 서비스 등에 있어서 일부 법령에서도 적용했다.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올해 생일 전이라면, 이번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에서 1을 빼면 된다.

 

즉, 올해가 2023년이고 1992년에 태어났을 경우 2023-1992-1=30세가 되는 것이다. 올해 생일이 지났다면 이번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면 된다. 2023-1992=31세가 되는 것이다.

 

만 나이로 통일되지 않는 예외도 있다. 취학 연령, 병역 의무, 청소년보호법 상 담배 및 주류 구매 연령, 공무원 시험 연령이다. 취학 연령은 학년제이기 때문에 정부는 1년 단위로 학년을 올려야 하는 것이 맞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는 만 나이로 6세가 된 해의 다음 해 3월 1일부터 입학한다. 2023년에 2016년생, 2024년에 2017년 생이 입학하는 것이다. 술과 담배를 구입하는 연령도 올해 생일이 지났는 지와 상관없이 ‘현재 연도-출생연도’ 나이를 기준으로 판매가 가능하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 램을 준비했다. ■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은 10월 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열리며, 꼬지전·산적·호박새우전 등을 함께 만든다. 신청은 9월 2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QR코드 또는 센터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가능하다. 준비물은 앞치마이며, 문의는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컴퓨터 주말반 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인 ‘컴퓨터 주말반’도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총 6회 이며,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센터 3층 디지털교육장에서 열린다. 엑셀 집중과정으로 진행되며,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외국인주민 등이 참여 할 수 있다. 접수는 10월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 15명을 모집하며, 홈페이지 또는 QR코드를 통해 신청 가능 하다. 문의는 사업3팀(☎ 031-631 2267)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경희대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공동 운영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어학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지원과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해 공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원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 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학생 10명이 멘토로 참여한다. 아동들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학습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나누게 된다. 특히,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도와 함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단순한 공부 지원을 넘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멘토링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업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 개최

보령시가족센터는 지난 26일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년째 이어져 온 이번 행사는 내·외국인 500여 명이 참여한 보령 지역 최대 규모의 다문화 축제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체험과 공연을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공감대를 한층 더 확산시켰다. 행사는 명천실버복지관의 사물놀이 공연과 명천어린이집의 율동 무대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식에서는 지역 내 다문화가족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 단체와 개인, 다문화가족 지원 유공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보령시여성인력개발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 유공자들의 숨은 노고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을 조명하고,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시민 참여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18개의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3개국 세계놀이 체험’에서는 ▲한국의 투호와 제기 ▲베트남의 따가오 ▲일본의 다루마오토시와 긴교스쿠이 등 전통놀이를 통해 각국의 문화적 특색을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