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0.0℃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4.9℃
  • 구름많음대전 3.9℃
  • 맑음대구 4.4℃
  • 구름많음울산 7.4℃
  • 맑음광주 7.0℃
  • 맑음부산 9.9℃
  • 맑음고창 3.6℃
  • 맑음제주 10.5℃
  • 맑음강화 0.7℃
  • 흐림보은 -0.3℃
  • 구름조금금산 2.0℃
  • 맑음강진군 4.9℃
  • 구름많음경주시 8.2℃
  • 맑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20万名多文化学生... 政府和教育厅这样对应

 

随着低出生率现象和多文化移居民的增加,2025年对20万名多文化学生提供基础学历提升以及心理疏导和升学指导等进行多方面支援。

 

低出生率现象导致小学、初中、高中的学生持续减少相反多文化学生数却保持增加,2025年预计可达20万名。对此分析指出这些多文化家庭的孩子在韩国出生的比例较高要跟外国人家庭不同的‘韩国人观点’的教育政策来教育。

 

31日据教育界消息透露韩国教育开发研究院(KEDI)高级研究员通过在KEDI简要报告中发表的‘根据2023教育基本统计来查看的韩国教育现况’资料表示去年因跨国婚姻或者父母的移民以及就业等因素居住在韩国的多文化学生已超过18万名占据比例提升到整体的3.5%。

 

多文化学生大致分为跨国婚姻家庭和外国人家庭。据调查跨国婚姻家庭中在韩国出生的多文化家庭学生数为12万9千910名占整体多文化学生的71.7%,外国人家庭学生数为4万372名占22.3%,跨国婚姻家庭中途入境的学生数为1万896名占6.0%。

 

按照多文化学生的父母本国出身国家里越南籍最多达5万8千135名(32.1%),中国籍(除韩裔)为4万4千587名(24.6%),菲律宾籍为1万6千568名(9.1%)。从各班级的多文化学生比例小学为4.4%比2022年上升0.2%,初中为3.3%,高中为1.7%,分别同比上升0.4百分点。

 

首尔有9所小学的多文化学生比例超过40%。7日,据首尔教育厅透露首尔永登浦区永林小学(70.93%),大东小学(70.88%)的多文化学生比例超过了70%。

 

首尔小学新生入学数突破了历史上首次5万名的记录,学生总数在下降反而多文化学生所占的比例相对更大。

京畿地区去年多文化学生突然增多10%接近5万名,学生的出身国家也增加到22个国家。一所学校占30%以上的多文化密集学校在一年内增加了20%达到了57所。

 

随着低出生率现象导致多文化以及移居民的增加趋势政府和教育当局也在发生变化。16日,女性家族部表示为了多文化儿童和青少年健康成长从小学到中高中根据成长阶段针对性的支援学习和升学指导。

 

女性家族部还表示将支援多文化家庭子女学前以及小学基础学习的运营中心由原来的138所扩大为168所。并运营青少年期心理疏导和升学咨询中心包括学习,交友关系等烦恼咨询和自我指导升学设计项目等运营中心也从原先的113所扩大到143所。

 

为了能让学生同时使用父母的母语和韩语也加大对双语学习方面的支援,将年龄限制从12岁以下扩大到18岁。另,对于低收入的多文化子女将推进购买书籍或使用读书室的教育活动费支援事业项目。

 

首尔教育厅在国、公、私立小学发放的帮助资料里增加了如何对待多文化学生的法律。并对所有教员义务性执行3年内进行15个小时以上的多文化教育职务研修。

 

京畿教育厅也和地方政府议会携手在东豆川全国首次开了韩国语共用学校。为了在学前向外国人家庭和中途入境学生提供集中教育帮助增进基础学历以和适应学校。

 

道教育厅预计把共用学校扩大到12所来应对多文化教育并通过对韩国学生的多样性教育培养全球人才。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김화자 시민기자ㅣ저출생 현상과 늘어나는 다문화·이주민, 2025년 다문화학생 20만 명...기초학력 증진, 정서·진로 상담 등 다각도 지원

 

저출생 현상으로 초·중·고교생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다문화 학생 수가 계속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국내에서 출생한 학생의 비율이 높아 외국인 가정과 다른 ‘내국인 관점’의 교육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육개발연구원(KEDI) 강성국 선임연구위원은 KEDI브리프에 게재된 ‘2023 교육기본통계로 살펴본 한국 교육 현황’ 자료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지난해 국제결혼이나 부모의 이민, 취업 등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이 18만 명을 넘어, 전체의 3.5% 수준까지 올라왔다.

 

다문화 학생은 크게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 가정으로 나뉜다. 국제결혼가정 중 국내 출생 다문화 학생은 12만 9천910명으로 전체 학생 대비 71.7%를 차지했으며, 외국인 가정은 4만 372명으로 22.3%, 국제결혼가정의 중도입국 학생은 1만 896명 6.0%로 조사됐다.

 

부모 출신국별 다문화 학생은 베트남계가 5만 8천136명(32.1%), 중국(한국계 제외) 4만 4천587명(24.6%), 필리핀 1만 6천568명(9.1%)로 많았다. 학급별 다문화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가 4.4%로 2022년 대비 0.2% 상승했으며, 중학교는 3.3%, 고등학교는 1.7%로 각각 전년 대비 0.4%포인트씩 상승했다.

 

서울에서 다문화 학생 비율이 40% 넘는 초등학교도 9곳에 달한다. 7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영등포구 영림초등학교(70.93%), 대동초등학교(70.88%)는 다문화 학생 비율이 70%를 넘었다.

 

서울 초등학교 신입생이 사상 첫 5만 명대를 기록하며 전체 학생 수가 낮아지고 있어 다문화 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더 커졌다.

 

경기 지역도 지난해 다문화 학생이 10% 넘게 급증하여 5만 명에 육박한다. 학생들의 출신 국가도 22곳으로 늘었으며, 한 학교에 30% 이상이 다문화 학생인 다문화 밀집학교는 1년 사이 20% 늘어 57곳이다.

 

저출생 속에서 늘어나는 다문화·이주민 증가의 흐름에 정부와 교육 당국도 변화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16일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까지 성장단계별로 학습 진로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여가부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 전·초등기 기초학습을 지원하는 운영센터를 138개소에서 168개소로 확대한다. 학업, 교우관계 등 고민 상담과 자기 주도적 진로 설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청소년기 정서·진로상담 운영센터도 기존 113개소에서 143개소로 확대한다.

 

부모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 학습 지원도 강화하며, 참여 자녀 연력을 12세 이하에서 18세까지로 확대한다. 또 저소득 다문화 자녀를 대상으로 도서 구매나 독서실 이용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활동비 지원 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서울시교육청은 국·공·사립 초등학교에 배포하는 도움 자료에 다문화 학생을 대하는 법을 추가했다. 또 모든 교원을 대상으로 3년 이내 15시간 이상 다문화교육 직무 연수를 의무화했다.

 

경기도교육청도 지방자치단체와 손을 잡고 전국에서 처음으로 동두천에 한국어공유학교를 열었다. 취학 전 외국인 가정이나 중도입국 학생들에게 집중 교육을 제공하여 기초학력 증진과 학교 적응을 돕기 위해서다.

 

도교육청은 공유학교를 12개까지 확대해 다문화 교육에 대응하고, 국내 학생들에겐 다양성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국내적응 프로그램 성료

양평군가족센터(센터장 박우영)는 2025년도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된 국내 적응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와 지역 문화를 이해하고, 지역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1월 7일 진행된 올해 마지막 프로그램은 지평장공장 고추장 만들기 체험으로, 참가자들은 전통 장류의 제조 과정을 배우고 직접 고추장을 담그며 한국의 식문화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였다. 올해 국내 적응 프로그램은 상·하반기로 나뉘어 운영됐다. 상반기에는 △공예박물관 관람 및 김치 만들기 △강릉 오죽헌 탐방을 통해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생가를 방문하며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 화폐의 역사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하반기에는 △양평친환경로컬푸드의 지원으로 진행된 한국어 수준별 로컬푸드 요리체험 △여주 목아박물관 방문 △경기공예페스타 가죽공예 체험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이어졌다. 박우영 센터장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의 문화와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활동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

광양시가족센터, 다문화부부 위한 합동결혼식 열어

전라남도 광양시가족센터는 지난 4일 금호동 백운플라자 레스토랑에서 경제적 사정이나 여건상 예식을 올리지 못했던 다문화부부 두 쌍을 위한 합동결혼식을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포스코 프렌즈봉사단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지난 2007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광양시가족센터는 다문화가정에 소중한 추억을 선물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결혼식은 광양창의예술고등학교 관현악부의 축하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 포스코 광양제철소 고재윤 소장의 주례와 혼인서약, 성혼선언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으며, 광양시립합창단 서지명 테너의 축가와 신부의 우즈베키스탄 전통춤 공연이 더해져 서로의 문화가 어우러진 따뜻한 무대가 펼쳐졌다. 주례를 맡은 고재윤 포스코 광양제철소장은 “결혼은 사랑을 매일 실천하는 약속”이라며 “오늘 이 자리가 부부들에게 평생의 행복으로 남길 바란다”고 축하의 말을 전했다. 이주화 광양시가족센터장은 “다문화가정이 지역사회 속에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진정한 가족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희 광양시 여성가족과장은 “이번 합동결혼식이 다문화부부에게 소중한 추

양평군가족센터, 결혼이민여성 대상 ‘당당한 나 만나기!’ 프로그램 운영

양평군가족센터(센터장 박우영)는 한국 거주 3년 이상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 당당한 나 만나기!’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10월 23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11월 6일까지 총 5회기에 걸쳐 진행됐다. 결혼이민여성 6명이 참여해 △개인 강점과 장점을 탐색해 자존감을 높이는 세션 △‘10년 후의 나에게 보내는 타임캡슐’ 제작 △아로마 명상 테라피를 통한 내면의 평화와 소통 능력 강화 △‘건강한 나를 위한 요리 꿀팁!’ 체험 등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박우영 센터장은 “결혼이민여성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해 삶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센터의 역할”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이 자기이해와 미래설계 역량을 키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양평군가족센터는 앞으로도 결혼이민여성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