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문화뉴스 = 정영한 기자 | 내년부터 인터넷 기반(IBT)의 한국어능력시험 응시 기회가 6개국·연 3회에서 13개국·연 6회로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교육부는 10일 ‘2025년 한국어능력시험 시행계획’ 발표,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한 한국어능력시험 응시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같이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올해 한국, 몽골,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중국(홍콩), 필리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은 내년부터 미국(괌),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파라과이, 파키스탄에서도 볼 수 있다.
한편 교육부는 국내·외 응시자들의 응시 편의성 제고 등을 위해 2026년 도입을 목표로 인공지능 기반의 한국어능력시험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1997년부터 시행한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평가하는 시험으로, 재외동포와 외국인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평가 결과는 국내 대학 유학 및 취업, 정부 초청 장학생 프로그램(GKS), 국외대학의 한국어 관련 학과 학점 및 졸업 요건 등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2022년에 약 35만 명이 응시했던 한국어능력시험은 2023년 동안 약 42만 명, 그리고 올해 8월까지 이미 42만 명 등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의 응시 기회를 올해 6개국 연 3회 시행에서 신규로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미국(괌), 베트남, 태국, 파라과이, 파키스탄을 추가해 13개국 연 6회로 2배 이상 확대한다.
이에 따라 한국어능력시험 Ⅰ(듣기, 읽기)·Ⅱ(듣기, 읽기, 쓰기) 평가는 지필시험(PBT: Paper-Based Test) 6회, 인터넷 기반 시험 6회로 모두 12회 시행하며 말하기 평가는 인터넷 기반 시험으로 총 3회 시행한다.
한편 주관기관인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센터는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갖춘 시험장을 확보하고 시범시행 실시 등 신규 시행 국가에서도 인터넷 기반 시험을 차질 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준비해왔다.
아울러 원격감독 기능, 문항 자동생성 및 채점 기능 등을 갖춘 한국어능력시험 디지털 체제 전환 사업도 추진한다.
이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면 응시생이 시험장에 가지 않고도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높아지고, 급증하는 시험 응시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늘어나는 한국어능력시험 수요에 대응해 시험 시행 국가와 시행 횟수를 늘리고 인터넷 기반 시험을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하겠다”며 “이와 함께 언제, 어디서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 또한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