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В следующем году разрешение на въезд в страну получат 59 тысяч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Добавятся новые допустимые отрасли: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е работы, обслуживание в столовых

내년 외국인 근로자 5만9000명 입국 허용... 택배 상하차, 기관 구내식당업 등 허용업종 추가

495680548.jpg

 

28 декабря правительство под руководством главы Управления по координац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политики Ку Юн Чхоля провело 32-е заседание Комитета по вопросам занятости иностранцев, на котором был утвержден «План по внедрению и управлению иностранной рабочей силой на 2022 год». В частности были предложены меры по увеличению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уда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в отраслях, испытывающих нехватку рабочей силы.

 

В следующем году планируется разрешить въезд 59 тысячам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что на 7 тысяч человек больше, по сравнению с текущим годом. С 2017 по 2020 год количество заехавших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сохранялось на уровне 56 тысяч человек в год, но в 2021 году снизилось до 52 тысяч человек.

 

Представитель Министерства труда пояснил: «За последние два года под влиянием пандемии СOVID-19 число заезжающих рабочих сократилось до 60 тысяч человек. Мы рассмотрели ситуацию, при которой нехватка рабочей силы увеличится на предприятиях малого и среднего бизнеса, в сельском хозяйстве и других сферах, где требуется труд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Правительство также приняло решение продлить на один год период найма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около 40 тыс. чел с визами E-9 и H-2), срок пребывания и поиска работы для которых истекает в период с 1 января по 12 апреля следующего года. Эта мера учитывает возможность того, что трудности с въездом и выездом из страны для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сохранятся из-з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Омикрон-штамма.

 

Кроме того, был расширен список допустимых сфер занятости для этнических корейцев (виза H-2). Учитывая продолжающуюся нехватку рабочей силы в доставке, «наземная обработка грузов» добавлена к разрешенным сферам для занятости этнических корейцев, при этом иностранные рабочие допускаются к выполнению только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 работ.

 

Принимая во внимание нехватку рабочей силы в сфере общественного питания и гостиничного бизнеса, было решено добавить в список допустимых сфер занятости для этнических корейцев (виза H-2) «обслуживание столовых в составе организаций», «эксплуатация курортных кондоминиумов» и «гостиничный бизнес уровня 4-5 звезд»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законом «О продвижении туризм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со штатом до 50 человек, учитывая то, что с июля этого года была полностью внедрена система 52-часовой рабочей недели, до следующего года будет временно увеличено на 20% допустимое количе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Помимо этого был предложен план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остранных студентов (виза D-2) в качестве рабочих (виза E-9) в рамках общей системы разрешений на работу. В данной программе могут участвовать те, кто въехал в Корею по учебной визе (D-2), окончил мест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ли техникум), но не смог найти работу в качестве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специалиста (визы E-1 – E-7) и желает получить рабочую визу (E-9).

 

К иностранным студентам, которые претендуют на рабочую визу, предъявляются схожие требования, что и к иностранным работникам, с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ми изменениями. Претендент должен не иметь опыта незаконного трудоустройства во время учебы в учебном заведении, закончить учебу со средним баллом «С», подтвердить третий уровень владения корейским языком и искать работу в течение трех месяцев.

 

Для прибрежно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рыболовства среднее количество рабочих на борту составляет от 8 до 10 человек, но разрешенное количе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до сих пор было ограничено двумя рабочими на одно судно. Учитывая нехватку рабочей силы, этот показатель увеличен до четырех человек на судно.

 

Разрешен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труда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на небольших птицефабриках и свиноводческих фермах (до 2 человек).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занимающихся выращиванием паприки, учитывая тенденцию роста тепличных хозяйств, максимально допустимое количе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увеличено с 20 до 25 человек.

 

Начиная с 2023 года метод определения отраслей, в которых применяется система специальных разрешений на трудоустрой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о, строительство, животноводство, рыболовство, горнодобывающая промышленность, оптовая и розничная торговля, общественное питание и гостиничный бизнес), поменяется с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при котором отдельно указывается каждая отрасль, на отрицательный, при котором указываются только отдельные отрасли, к которым не применяются новые правила.

 

К отраслям, для которых ограничена выдача разрешений на работу этническим корейцам (виза H-2), относятся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е и высокооплачиваемые отрасли без нехватки рабочей силы, такие как финансы, НИОКР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Тем не менее, было решено сохранить существующий разрешенный статус для отраслей, которые были исключены из списка допустимых по данному стандарту.

 

Глава Управления по координац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политики Ку Юн Чхоль сказал: «Мы подготовили план по привлечению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с учетом карантинной ситуации и нехватки рабочей силы на местах, которая усугубляетс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м COVID-19 и его новым штаммом Омикрон. Для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которые посещали страны, въезд из которых ограничен в связи с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м Омикрон-штамма, въезд в Корею будет отложен.  К ним мы применяем тщательные карантинные меры, включая вакцинацию и тестирование ПЦР перед въездом и карантин после въезда в страну».

 

 

 

 

(한국어 번역)

정부는 12월 28일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제32차 외국인력정책위원회를 개최하여 「2022년도 외국인력 도입·운용 계획」을 의결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내년에 인력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업종에 대해 외국인근로자 활용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내년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는 올해 5만2000명보다 7000명 늘어난 5만9000명으로 결정됐다.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는 지난 2017년 이후 2020년까지 5만6000명을 유지하다 지난해 5만2000명으로 소폭 축소됐다.

  

고용부는 "지난 2년간 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6만명 감소하면서 중소기업과 농어촌 등 외국인력이 필수적인 사업장에서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내년 1월 1일~4월 12일 기간 내 체류 및 취업활동 기간이 만료되는 외국인 근로자(E-9, H-2·약 4만 명)의 취업활동 기간을 만료일로부터 1년 연장하기로 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의 입출국 애로가 지속될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우선 동포(H-2) 허용업종을 추가한다. 택배업계의 인력난이 지속되는 점을 고려해 '육상화물취급업'을 동포 허용업종으로 추가, 상·하차 업무에 한정해 외국인 근로자를 허용한다.

  

급식업계 및 숙박업계의 인력난을 감안해 '기관 구내식당업', '휴양콘도운영업', '관광진흥법'에 따른 '4~5성급 호텔업'도 동포(H-2) 허용업종으로 추가하기로 했다.

  

50인 미만 제조사업장의 경우 올해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본격 적용된 점을 고려해 기존 사업장별 고용허용인원 20% 상향 조치를 내년까지 한시적으로 연장한다.

  

또 외국인 유학생(D-2)을 일반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E-9)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대상자는  유학(D-2) 체류자격으로 입국해 국내 대학(전문·일반대학)을 졸업한 사람 중, 전문인력(E-1~E-7)으로 구직활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해 외국인근로자(E-9)로 일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다.

  

외국인 유학생이 외국인근로자로 선발되기 위한 요건은 기본적으로 송출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어시험 응시 요건을 준용하고, 추가 재학 중 불법취업 이력이 없으며 평균 C학점 수료, 한국어시험 3급 이상, 최소 3개월 이상 전문인력 구직활동을  한 이들이 해당한다.

 

연안복합어업의 경우 평균 승선인원이 8~10명인데 반해 외국인근로자 허용인원이 척당 2명으로 제한돼 인력난을 겪는 점을 고려해 척당 4명까지 고용허용인원을 늘린다.

  

영세 양계·양돈 농가에 외국인근로자 배정을 허용(총 2명)하고, 파프리카 작물의 경우 온실의 대형화 추세를 고려, 외국인근로자 배정인원을 최대 20명에서 25명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2023년부터 제조업, 건설업, 농축산업, 어업, 광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특례고용허가제 허용업종 결정방식이 현행 개방업종을 일일히 명시하는 포지티브 방식에서 일부 업종을 명시하고 그 외에 모두 개방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된다.

  

다만, 동포 허용이 제외되는 업종 선정기준은 인력이 부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은 업종으로 금융업, 연구개발업, 정보통신업 등 주로 전문직, 고임금 업종을 중심으로  H-2 동포 허용이 제외된다. 단, 현재 H-2 동포 허용업종은 동 기준에 따른 허용제외 업종에 포함되더라도 기존 허용업종 지위를 유지하기로 했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가중된 현장의 인력난과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 방역상황을 고루 고려한 외국인근로자 도입·운용 계획을 마련하였다”고 밝히며 “외국인근로자 도입은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 상황을 고려해 오미크론 변이 관련 입국금지 대상국가에 방문 이력 등이 있는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입국시기를 유예하고, 입국 전 예방접종 및 PCR 검사, 입국 후 시설격리 등 입국 전후 철저한 방역조치를 거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양평군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사업 2년 연속 추진

양평군은 다문화 자녀의 교육 기회 확대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초등생 40만 원, ▲중학생 50만 원, ▲고등학생 60만 원 씩 연 1회 지원하는 ‘다문화가족 자녀교육활동비 지원사업’을 2년 연속 시행하여 총 301명의 다문화자녀들에게 교육 활동비를 지원했다. 사업 대상은 7~18세 다문화가정의 한국 국적 자녀로, 재학생 뿐 아니라 교육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아동·청소년의 교육권 보장을 목표로 학교 밖 청소년까지 포함하여 추진되었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자녀의 진로 탐색과 학업 지속을 돕는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사업을 매개로 양평군 가족센터에 신규 등록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복지 서비스 접근과 혜택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박우영 센터장은 “이 사업은 다문화 자녀들에게 학습 기회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부모의 교육적 참여를 높이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교육 사각지대에 있는 다문화 자녀들이 소외되지 않고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이어가겠다. 아울러 지역사회가 다양성과 포용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

금산군가족센터 다문화 동아리, 시군 동아리 경연대회서 잇달아 수상

금산군가족센터 다문화 동아리 뷰티풀라이프·디아나 팀이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5년 충남 다문화가족 페스티벌 시군가족센터 동아리 경연대회에서 각자 우수상과 장려상을 수상했다. 우수상을 받은 뷰티풀라이프 팀은 필리핀 전통춤 동아리로 지역 내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여성 10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2023년 다문화 우수사례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디아나 팀은 장려상을 받았으며 올해 베트남, 중국, 한국 출신 여성 8명이 참여하는 밸리댄스 동아리로 팀을 구성해 매주 수업을 진행하며 친밀감을 쌓아오고 있다. 군 관계자는 “뷰티풀라이프와 디아나 팀이 상을 받은 것은 그동안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다문화 가족 모두가 자기표현의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취업지원 ‘리크루팅 데이’ 2차 모집

서울시는 결혼이민자 및 자녀의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해 2025년 소규모 취업박람회 ‘리크루팅 데이’를 4회 진행한다고 밝혔다. ‘리쿠르팅 데이’는 구인 기업, 구직자 상호 만족도가 높은 행사로 구인 기업에게는 한자리에서 다수의 구직자를 직접 면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구직자에게는 여러 기업과의 면접을 통해 취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지난 6월 19일 1차 무역업 분야 리크루팅 데이에는 3개 기업, 23명의 구직자가 현장 면접에 참여해 총 3명이 채용으로 이어졌다. 서울시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오는 9월 18일 서울가족플라자에서 통번역 분야로 제2차 리크루팅 데이를 진행할 계획이다. 1차 리크루팅 데이 참여자인 이란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에서 경력을 어떻게 살릴지 막막했는데 리쿠르팅 데이에서 자기소개서와 이력서 컨설팅을 받으며 경력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고, 부족한 한국어 표현도 도움을 받아 완성할 수 있었다”라며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되찾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라고 전했다. 2차 통번역 리크루팅 데이 참여자 모집은 오는 9월 15일까지 진행되며, 행사 당일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상세한 내용은 서울시 다문화가족 정보 포털 한울타리 및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