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ความหมายของ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และวิธีการประดับธงชาติเกาหลี

9645-960-9.jpg

 

วันที่ 15 เดือน สิงหาคม เป็นวัน 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 (광복절) ของ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ครั้งที่ 77 เนื่องในโอกาส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 เราจึงอยากเรียนรู้ความหมายของ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ร่วมกัน และไตร่ตรองความหมายของ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อีกครั้ง


ใน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 “ควังบก” ในภาษาจีน หมายถึง “การฟื้นคืนแสงสว่าง” เป็นการรำลึกถึงการคืนอำนาจอธิปไตยของ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ที่ตกอยู่ภายใต้อาณานิคมของประเทศญี่ปุ่นถึง 35 ปี นอกจากนี้ ยังไม่ใช่เพียงแค่ วันเฉลิมฉลองการฟื้นคืนอำนาจอธิปไตยของชาติ แต่เป็นวันที่ระลึกถึงความสำเร็จของนักเคลื่อนไหวเพื่ออิสระภาพ ที่เสียสละเพื่อแสดงความกตัญญูต่อประเทศชาติ 


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ที่มีความหมายนี้เป็น 1 ใน 5 วันหยุดประจำชาติที่สำคัญ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คือวัน ระลึกการต่อต้านการเป็นอาณานิคมของประเทศญี่ปุ่น(삼일절), วันสถาปนาชาติเกาหลี(개천절), วันภาษาเกาหลีแห่งชาติ(한글날), วันรัฐธรรมนูญ(제헌절) ซึ่งในวันเหล่านี้จะมีการประดับธงชาติเกาหลี


วิธีการประดัลบธงชาติเกาหลีนั้น จะชักธงขึ้นสู่ยอดเสา ในวันที่ระลึกและในวันธรรมดา วิธีการชักธงขึ้นนั้นจะแตกต่างกันไปตามอาคาร ในกรณีบ้านเดี่ยวนั้น ในแขวนธงไว้ตรงกลาง หรือ ด้านซ้ายของประตูบ้านที่สามารถมองเห็นได้ชัดจากภายนอก กรณีที่เป็นอาคาร จะแขวนธงไว้ด้านหน้าที่พัก ตรงกลางหรือด้านซ้าย โดยสามารถประดับธงขึ้นไว้บนดาดฟ้า หรือกันสาดด้วย 


ในวันประกาศอิสระภาพ วันที่ 15 สิงหาคมนี้ ขอแสดงความกตัญญูต่อผู้เสียสละที่เสียสละเพื่อประเทศชาติเกาหลี และระลึกถึงวีรบุรุษของประเทศ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시리판 시민 기자ㅣ8월 15일은 광복절 77주년입니다. 광복절을 맞이하여 광복절의 의미를 함께 알아보고 그 뜻을 다시 되새겨보려 합니다.


광복절의 ‘광복’은 한자어로 ‘빛을 되찾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한국이 35년간 일본의 압박에 시달리다가 빼앗긴 주권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또 국권을 회복하여 축하하는 날이 아닌,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다시 되새기고 감사의 마을 전해야 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뜻깊은 광복절은 삼일절, 개천절, 한글날, 제헌절과 함께 한국의 5대 국경일로 태극기를 다는데요. 이를 태극기를 게양한다고 합니다.


태극기 게양 법은 경축일 및 평일 기준으로 깃대에 가장 위쪽에 오도록 게양하면 됩니다. 건물에 따라 게양법이 달라지는데요. 주택의 경우 집 밖에서 보았을 때 대문의 중앙이나 좌측에 게양해야 하며 건물 주변의 경우 전면 지상의 중앙이나 좌측, 옥상이나 차양시설 위 중앙에 게양하면 됩니다.


이번 8월 15일 광복절에는 자유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들과 호국영령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봅시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1인가구 자유주제사업 ‘추억익는 여행’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2명을 대상으로 ‘추억익는 여행’을 진행한다. 행사는 10월 18일(토) 오전 9시부터 10월 19일(일) 낮 12시 30분까지 강원도 강릉·속초 일대에서 진행되며, 전통주 빚기, 속초 중앙시장 자유투어, 바다뷰 요가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참여 대상은 이천생활권 1인가구 중 프로그램 3회 이상 참여자이며, 신청은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문의는 전화(070-4866-0205)로 하면 된다. ■ 1인가구 금융교육 ‘증권 사용설명서’ 이천시가족센터는 1인가구 15명을 대상으로 금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증권 사용설명서’를 운영한다. 교육은 9월 18일(목) 오후 7시부터 8시 30분까지 센터 3층 가온실에서 열리며, 증권상품 이해, 상장지수펀드 (ETF), 안정적인 배당소득 관리 등 실생활 중심의 금융 지식을 다룬다. 참석자 전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되며, 신청은 구글폼을 통한 사전 접수 후 확인문자를 받아야 한다. 문의는 1인가구 담당자(0

화성시가족센터 가족회복지원사업, 부모자녀 친밀감 향상프로그램 ‘가족의 시간속으로’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9월 20일(토)과 9월 27일(토) 양일에 걸쳐,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및 친밀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부모와 자녀 간의 건강한 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그림책테라피를 통한 부모자녀 친밀감 향상 프로그램(부모+자녀대상) ▲TA드라이버 카드로 양육스타일 확인 및 건강한 양육방법 알아보기(부모 대상) ▲미술치료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하기(자녀대상) ▲색채심리 및 팝아트로 가족액자 만들기(부모+자녀대상) 등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1차 프로그램은 9월 20일, 2차 프로그램은 9월 27일에 진행되었다. 박미경 화성시가족센터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증진하고 친밀감을 향상하여 화성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가족을 위한 통합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성시가족센터는 이번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가족 형태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 기능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사례관리,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부모자녀 친밀감 향상 프로그램 관련 문의사항은 화성시가족센터 상

화성시가족센터, 1인가구 대상 추석맞이 ‘송편 만들기’ 프로그램 진행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2025년 10월 1일, 화성시 관내 1인가구 33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절기 프로그램 ‘송편 만들기’를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맞아 전통음식인 송편을 직접 빚으며 명절의 의미를 되새기고, 1인가구 간의 따뜻한 정서적 교류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프로그램은 ▲송편의 의미·종류·재 료 소개 ▲강사 시연 ▲삼색 송편 만들기 ▲참여자 간 추석 계획 나누기 ▲가 족이나 지인에게 사랑의 편지 쓰기 순으로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직접 만든 송편과 함께 손편지를 가족과 지인에게 전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한 참여자는 “추석을 맞아 색다른 경험을 하여 잊었던 명절의 의미를 찾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특히 송편도 직접 빚어보고 오랜만에 손편지를 쓰며 가족에게 사랑을 전할 수 있어 더 특별했다. 강사님과 기획해주신 화성시가족 센터에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미경 센터장은 “이번 송편 만들기 프로그램은 1인가구가 명절 문화를 체험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가족과 지인에게 정을 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1인가구의 생활과 정서적 필요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