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Here's how to send a fax when you're in a hurry.

급할 때 팩스(fax) 보내는 방법 정리

4850968.jpg

 

In our daily lives, we occasionally need to send a fax quickly. Here are the locations and ways of sending faxes. 


1. The community centers and local welfare centers offer free printing and faxing on weekdays from 9:00 to 18:00, and there is also an unmanned civil petition issuing device. Some community centers have these devices, but others do not, so it's best to call ahead before visiting.


2. If it is a post office that handles both banking and postal services, it can transmit faxes for a fee. How to use: Complete the fax application form and pay the minimum charge of 500 won for each sheet and 200 won for every addition.


3. At the highway rest stop, there is a facility known as the General Information Center. The handy facilities include services such as computer use, photocopying, faxing, mobile phone charging, phone calls, and tour information, allowing you to get things done fast on business trips or travel. It is not installed in all rest locations, so you must double-check.


4. You can download and get the "Mobile Fax" app for your phone. Download the app → Consent to all → Register new mobile phone number → Verify mobile phone number → Enter fax number → Attach a photo/document → Send a fax. It is advised that you examine the receipt 15 minutes after sending. If the fax is received successfully, you may view the fax receiving history.


5. Enfax’s Internetfax allows you to transmit faxes for free.


You can also send faxes at large stationery stores and libraries. The most recent document work should be erased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강성혁 기자ㅣ평소 생활을 하다 보면 가끔씩 급하게 팩스를 보내야 할 경우가 생긴다. 팩스를 보내는 곳이나 방법을 소개한다.


1.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는 평일 근무시간 9시~18시까지 프린트와 팩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무인민원발급기도 있다. 주민센터마다 되는 곳도 있고 안되는 곳도 있어 방문 전 미리 전화로 문의하고 가면 좋다.


2. 우체국은 금융업무와 우편업무를 동시에 취급하는 우체국이라면 팩스 발송이 유료로 가능하다. 이용방법은 fax 이용 신청서 작성 하고 수수료 최소 1매 500원 추가는 1매 200원이다.


3. 고속도로 휴게소에 종합 안내소라고 있는 곳이 있다. pc사용, 복사, 팩스, 핸드폰 충전, 전화, 관광안내 등 편의 시설이 잘 되어 있어 출장 중, 여행 중 급히 해결할 수 있다. 모든 휴게소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니 확인이 필요하다.


4. 모바일팩스 휴대폰에 "모바일팩스"라고 하는 앱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앱 다운→전체동의→휴대폰번호 신규 가입→휴대폰 번호 인증→팩스번호 입력→사진/문서 첨부→팩스발송, 발송 완료 후 15분 정도 지나서 수신 확인하는 것이 좋다. 팩스가 잘 도착하면 팩스 수신 내역도 확인할 수 있다.


5. 엔팩스 인터넷팩스를 통해 무료로 팩스를 보낼수 있다.


그 외 대형 문구센터, 도서관도 가능하다. 개인 정보를 위해서 마지막 문서작업등은 삭제해야 한다.

 



배너
닫기

커뮤니티 베스트

더보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성남시가족센터, 8월 가족사랑의 날 ‘화과자 클래스’ 운영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8월 27일(수)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가족사랑의 날 3회기 프로그램으로 ‘화과자 클래스’ 를 운영했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성남시에 거주하는 7세부터 13세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전 온라인 접수를 통해 참여 가족이 선정되었다. 행사는 성남시가족센터 교육실 3에서 대면 체험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참여 가족들은 동물 모양과 꽃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화과자를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포앙 작업을 포함한 전통 화과자 만들기 과정을 통해 가족 간 협동과 유대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가족 친화문화 조성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마무리되었다. 참여자들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미있게 참여했다”, “화과자 만드는 시간을 쉽게 접하기 힘든데 아이와 함께할 수 있어 좋았다”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관련 문의는 성남시가족센터 가족지원팀 전화(031-755-9327, 내선 1번)으로 하면 된다.

성남시가족센터, 다문화자녀 정서지원사업 검사ㆍ치료비 지원 안내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11월 30일까지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2025년 다문화자녀 정서지원사업 검사비 및 치료비 지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3세부터 13세 까지의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며, 성남시가족센터 및 협약기관 5개 센터에서 진행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가정은 전화 예약 후 내소 상담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 증빙서류를 지참해야 한다. 지원 내용은 발달검사 및 종합심리검사 비용의 50% 또는 100% 지원과, 언어·인지· 놀이·미술치료 등 치료비의 50%에서 최대 90%까지 지원 하는 것이다. 단,‘우리아이심리지원바우처’ 또는 ‘발달재활바우처’ 를 사용하는 아동은 본 사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문화가족 자녀 정서지원사업 관련 예약 상담 및 문의는 성남시가족센터 가족성장팀 전화(031-756-9327, 내선 2 번)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가족 대상 하반기 인권감수성향상교육 성료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한국사회 정착과 각종 인권침해 등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인권감수성 향상을 교육을 지난 7월 29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교육은 약 20명 내외의 다문화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인권의 의미부터 인권침해 대처법까지 인권의 전반에 대해 다뤘으며 쉬운 이해와 효과적인 교육 진행을 위해 관련 영화 장면을 적절히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하반기 인권감수성향상교육은 다문화가족 및 이민자 인권 전문가인 홍규호 박사가 진행하여 교육의 전문성을 더했다. 강의를 수강한 베트남 출신의 결혼이민자 A씨는 “한국에 와서 인권 침해를 경험하기도 했는데, 오늘 교육을 듣고 만약에 또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