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5.2℃
  • 흐림서울 16.6℃
  • 맑음대전 17.7℃
  • 박무대구 14.5℃
  • 맑음울산 16.8℃
  • 맑음광주 16.7℃
  • 박무부산 16.9℃
  • 맑음고창 16.4℃
  • 맑음제주 23.0℃
  • 맑음강화 12.1℃
  • 맑음보은 12.0℃
  • 맑음금산 17.6℃
  • 맑음강진군 15.2℃
  • 맑음경주시 13.2℃
  • 맑음거제 16.4℃
기상청 제공

Pag-alam sa karaniwang kahulugan ng buhay, kung paano itapon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생활 상식 알아두기, 형광등 버리는법

0945860850.jpg

 

Dapat nating itapon nang maayos ang mga basurang nalilikha sa ating pang-araw-araw na buhay. Sa bawat piraso ng basura, ang bagay na pumapasok sa isip natin "Paano ko ito itatapon?". Kabilang ito ngayong araw sa matututunan natin kung paano itapon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ay nagagamit o napapalitan, kaya ang tagal ng buhay o tagal ng paggamit ay may hangganan kapag ginamit ang mga ito. Maaaring isipin ng ilang tao na isa o dalawang  bumbilya(fluorescent lamp) lang ito, kaya ayos lang na hawakan ang mga ito nang walang ingat, ngunit ang pagtatapon ng mga bumbilya sa maling paraan ay maaaring magkaroon ng masamang epekto sa kalusugan at kapaligiran.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ay ginawa sa pamamagitan ng paglalagay ng iba't ibang kemikal sa loob ng tubo na gawa sa baso, at kabilang sa mga ito ang mercury, kapag ito ay pumasok sa katawan o balat ng tao at naipon sa katawan ito ay nakalalason, kaya dapat kang mag-ingat. Ang mercury na naipon sa katawan ay nagdudulot ng sakit na tinatawag na mercury poisoning. Ang pagkalason sa mercury ay maaaring humantong sa baga, gitnang sistemang nerbyos(central nervous system), at sakit sa bato, kaya mag-ingat sa pagtatapon ng mga bumbilya. Bilang karagdagan, nakakalason ang mercury, kaya kung ito ay itinapon ng walang ingat, maaari itong makadumi sa kapaligiran at magkaroon ng negatibong epekto sa mga taong nangongolekta ng basura. Iyon ang dahilan kung bakit mahalagang huwag hawakan ito ng iyong mga kamay o iwasang langhapin ito.


Kapag nagtatapon 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sa halip na ilagay ang mga ito sa isang bag ng basura, kung titingnan mo ang magkahiwalay na mga kahon ng koleksyon ng mga apartment at villa, mayroong isang kahon ng koleksyon na nakatalaga o nakalaan lamang para sa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na umabot na sa katapusan ng kanilang pakinabang o napundi na ay dapat ng itapon. Kung walang nakatalagang kahon ng koleksyon, ito ay inilalagay sa sentro ng komunidad, upang maaari mo itong paghiwalayin at itapon.


Sa proseso ng pagpapalit ng bumbilya(fluorescent lamp), maaaring may mga kaso kung saan nasira ang bumbilya(fluorescent lamp). Kung ganito ang pagkasira ng bumbilya(fluorescent lamp), ang tamang paraan ay huwag itong itapon sa kahon ng koleksyon ng bumbilya(fluorescent lamp), kundi ibalot ito sa diyaryo upang hindi masugatan ang iyong kamay at pagkatapos ay itapon ito bilang pangkalahatang basura. Ang mercury ay maaaring lumabas sa isang sirang bumbilya(fluorescent lamp), kaya inirerekomenda na pasingawin ito sa lalong madaling panahon at maingat na punasan ito upang hindi ito dumikit sa balat.


Sa ngayon, tiningnan namin kung paano ligtas na itapon ang mga bumbilya(fluorescent lamp). Ang bawat isa ay nagsasama-sama upang lumikha ng isang ligtas na kapaligiran para sa lahat.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가날루우테스 시민기자ㅣ생활하면서 필수적으로 무조건 생기게 되는 쓰레기, 우리는 이렇게 일상에서 생기는 쓰레기를 올바르게 배출해야 한다. 각 쓰레기들을 "이건 어떻게 버려야 하지?" 생각이 드는 물건이 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형광등 버리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형광등의 경우 소모품이라 사용하다보면 수명이 다하게 된다. 누군가는 고작 한 두개의 형광등이라고 생각하여 아무렇지 않게 대충 처리할지 몰라도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전구를 버리게 되면 건강,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형광등 유리관 안에는 여러 화학물질을 넣어 제조하는데, 그 중 수은 성분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 사람의 몸이나 피부에 들어가면 몸 안에 축적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몸안에 쌓인 수은은 수은중독이라는 질환 유발시킨다. 수은중독은 폐, 중추신경계, 신장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형광등을 버릴 때 주의해야 한다.  또 수은은 독성이 있어 함부로 버리면 환경이 오염되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분들에게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손으로 만지거나 실수로 흡입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형광등을 버릴 때는 쓰레기봉투에 넣어서 버리지 않고 아파트, 빌라 단지의 분리수거함을 들여다 보면 형광등 전용 수거함이 있다. 수명이 다한 형광등은 이곳에 버려줘야 한다. 만약 전용수거함이 없다면 주민센터에 배치되어 있으니 분리해서 버리면 된다.

  

형광등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형광등을 깨뜨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형광등이 깨져버리면 형광등 전용수거함에 버리지 않고 손을 다치지 않게 신문지로 감싸준 후에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깨진 형광등에서 수은이 나올 수 있으니 최대한 빠르게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고 피부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서 닦아주어야 한다. 

  

지금까지 형광등을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봤다.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가 모여 모두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4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이중언어 교육대상자 모집 이천시가족센터는 만 18세이하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2025년 이중언어 교육대상자를 모집한다고 전했다. 교육언어는 △중국어 △베트남어 △ 캄보디아어 △일본어이며, 교육 일정은 2월부터 11월까지 언어별로 다르니 이천시가족센터에 별도 문의하면 된다. 교육은 이천시가족센터에서 원어민 강사가 담당하여 대면수업과 화상수업으로 진행된다. 교육비는 무료이다. 교육 관련 문의는 이천시가족센터 사업3팀 이중언어코치 전화(070 4866-0207)로 하면 된다. ■ 다문화가족을 위한 컴퓨터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위한 컴퓨터교육을 찾고있다면 이천시가족센터에 방문해보자.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와 배우를 포함하여 다문화가족구성원과 외국인주민 등에 컴퓨터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은 센터 교육장에서 진행한다. 교육은 4개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기초반, 엑셀집중반, ITQ자격증반, 컴퓨터주말반이 있다. 각 반별로 교육일정과 시간이 다르니 하단 홍보지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여 본인에게 맞는 교육을 신청하면 된다. 관련

안성시가족센터, 온가족보듬사업 추진을 위한 ‘보듬매니저 양성교육’ 실시

안성시가족센터(센터장 임선희)는 여성가족부 사업인 ‘온가족보듬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보듬매니저 양성교육’을 실시했다고 3월 18일 밝혔다. 온가족보듬사업은 여성가족부가 2024년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취약·위기가족을 포함해 다양한 가족들에게 상담, 사례관리, 자조모임,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통합 지원 사업이다. 보듬매니저는 사례관리 대상자를 직접 지원하는 돌봄 전문가로서, 학습지도, 심리·정서 지원, 생활 도움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양성교육은 3월 8일부터 15일까지 총 25시간에 걸쳐 진행됐으며,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온라인 교육(18시간)과 가족센터 자체 교육(8시간)으로 구성됐다. 이번 교육을 수료한 보듬매니저들은 4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해 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안성시 내 아동 돌봄 및 가족 지원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선희 안성시가족센터장은 “보듬매니저 채용을 통해 안성 지역 내 돌봄 지원이 더욱 확대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사회 내 가족 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화성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 역량강화지원·교육

화성시가족센터(센터장 박미경)는 3월 11일(화) 결혼이민자 및 가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오리엔테이션 및 사전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오리엔테이션은 △2025년 한국어교육 개요 △한국어 강사 소개 △가족센터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안내 등이 진행되었으며, 화성시청소년성문화센터와 연계한 성평등 사전교육도 함께 실시되었다. 한국어교육은 화성시남부종합사회복지관(향남), 화성시립봉담도서관(봉담), 화성형아이키움터(동탄산척점),센터교육장(병점) 등 4곳에서 이루어 지며, 대면 5개 반, 온라인 7개 반으로 총 12개 반이 운영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은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모로코 등 다양한 국적의 결혼이민자들로 배우자와 함께 적극적으로 안내를 경청하는 등 한국어 학습에 대한 높은 열의를 보였다. 교육은 2025년 3월 17일(월)부터 11월 14일(금)까지 진행되며, 한국어 수업뿐만 아니라 결혼이민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국내 적응 프로그램(9월예정)도 함께 운영된다. 박미경 화성시가족센터장은 “한국 생활이 낯설고 어려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