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The Origin and Meaning of Hangul Day

한글날의 유래와 의미

 

Hangul Day is a day to celebrate the day when King Sejong made Hunminjeongeum. The first name of Hangeul Day began as "Gagyanal" in 1926 and changed to Hangeul Day in 1928. After liberation, it was confirmed as October 9 of the solar calendar,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holiday in 2006.

 

In addition, Hunminjeongeum, which contains the preface of King Sejong and the principles of the production of Hangeul,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70, and it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October 1997.

 

Before Hunminjeongeum was created, the people had to write in Chinese characters. For the general public, Chinese characters were difficult to learn and translate Korean words accurately.

 

King Sejong, who felt sorry for the people who could not write properly due to lack of letters, created Hunminjeongeum with scholars of Jiphyeonjeon Hall that the people could easily learn and write.

 

Hangul is a very practical character that can simply create all sound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It is modeled after the oral structure, so anyone can easily learn and use it. Thanks to Hangeul, the illiteracy rate of the Korean people is less than 2%, which is one of the lowest illiteracy countries in the world.

 

Hunminjeongeum was completed in 1443 AD in the 2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was spread to the world in 1446, 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fter a three-year test period.

 

However, it is said that it took a long time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Hangul after it was distributed. The four major classes of Joseon were immersed in the life of Chinese characters for a long time, and since the suppression of Hangeul during the Yeonsan-gun period, Hangul has been reduced to letters used by women.

 

However,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Hangeul was widely us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hanks to the efforts of many Korean linguists. Hangeul encountered a crisis due to the policy of exterminating Korean word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it is said that it has been taught and learned Korean and Hangeul freely along with liberation and reaches the present day.

 

In commemoration of the creation and excellence of Hangeul on the "2022 Hangul Day Legal Holiday", why don't we feel the gratitude of Hangeul once again?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김정해 기자ㅣ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드신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한글날의 첫 이름은 1926년 ‘가갸날’이라고 시작되어 1928년 한글날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고, 2006년에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 서문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까지 백성들은 한자로 글을 적어야 했다. 일반 백성에게 중국 문자인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우리말을 정확하게 옮기기도 어려운 문자였다.

 

글자가 없어 글을 제대로 쓰지 못한 백성을 불쌍히 여긴 세종대왕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한글은 간단하게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모든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아주 실용적인 문자다. 구강구조를 본떠서 만들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쓸 수 있다. 한글 덕분에 우리나라 국민의 문맹률은 2%로 미만으로 전 세계에 가장 문맹률이 낮은 나라 중 하나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하지만 한글이 반포된 후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조선의 사대부계층이 오랜 한자, 한문 생활에 젖어있었고, 연산군 때의 한글 탄압 이후로 한글은 아녀자들이 쓰는 글자로 전락했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 많은 국어학자의 노력으로 한글이 신문, 잡지 등에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일제 강점기 말기에 우리말 말살 정책으로 큰 위기를 맞이했지만, 광복과 더불어 우리말과 한글을 마음 놓고 가르치고 배우게 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한다.

 

한글을 기념하는 '2022년 한글날 법정 공휴일'에 한글 창제와 그 우수성을 기리며, 한글의 고마움을 다시 한번 느껴보면 어떨까.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 램을 준비했다. ■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은 10월 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열리며, 꼬지전·산적·호박새우전 등을 함께 만든다. 신청은 9월 2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QR코드 또는 센터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가능하다. 준비물은 앞치마이며, 문의는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컴퓨터 주말반 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인 ‘컴퓨터 주말반’도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총 6회 이며,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센터 3층 디지털교육장에서 열린다. 엑셀 집중과정으로 진행되며,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외국인주민 등이 참여 할 수 있다. 접수는 10월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 15명을 모집하며, 홈페이지 또는 QR코드를 통해 신청 가능 하다. 문의는 사업3팀(☎ 031-631 2267)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경희대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공동 운영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어학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지원과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해 공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원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 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학생 10명이 멘토로 참여한다. 아동들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학습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나누게 된다. 특히,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도와 함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단순한 공부 지원을 넘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멘토링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업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 개최

보령시가족센터는 지난 26일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년째 이어져 온 이번 행사는 내·외국인 500여 명이 참여한 보령 지역 최대 규모의 다문화 축제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체험과 공연을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공감대를 한층 더 확산시켰다. 행사는 명천실버복지관의 사물놀이 공연과 명천어린이집의 율동 무대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식에서는 지역 내 다문화가족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 단체와 개인, 다문화가족 지원 유공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보령시여성인력개발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 유공자들의 숨은 노고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을 조명하고,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시민 참여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18개의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3개국 세계놀이 체험’에서는 ▲한국의 투호와 제기 ▲베트남의 따가오 ▲일본의 다루마오토시와 긴교스쿠이 등 전통놀이를 통해 각국의 문화적 특색을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