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3.2.3 튀르키예 시리아 대지진

 

WHY 유럽과 아시아에 걸친 튀르키예는 예로부터 지진위험국가로 분류됐다. 아프리카판, 아라바이판, 유라시아판 지각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지진이 자주 일어날 뿐더러 이로 인하여 북쪽엔 약 1200km의 북아나톨리아 단층선, 동쪽에는 약 700km의 동아나톨리아 단층선까지 생겼다.

 

따라서 튀르키예는 지진을 대비하기 위해 지진세를 만들어 20년간 5조 9 천억원 가량 걷었다. 그러나 이번 2023 년 2월 6일 튀르키예 동남부 가지안테프 인근을 강타한 지진 이후 지진세를 목적에 맞게 쓰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진 피해로 인한 구조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실 건축물이 방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지 진의 피해가 더 컸기 때문이다.

 

WHAT '사망자 10만 명 넘길 확률 계속 늘어'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사망자 이번 튀르키예 시리아 지진으로 인하여 사망자가 10만 명이 넘어갈 확률이 계 속 증가되고 있다.

 

인력과 장비부족, 추위와 감염병이 겹쳤으며 , 일부 사회에서는 약탈과 범죄로 인해 일부 국가 구조대는 철수까지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튀르키예 레제프 타이이프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렇게 큰 재난에 준비돼 있기는 불가능하다"며 정부를 향한 부정한 말을 있다는 발언으로 민심이 돌아서 나흘 후 사과를 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반면 같은 주에 위치한 소도시 에르진에서는 불법건축물을 허용하지 않아 단 한명의 사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SO 대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 구조대를 파견하여 구조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여러 구 호물품을 모아 튀르키예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에서 파견한 구조견 또한 큰 활약을 통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튀르키예 시리아 대지진 피해를 키운 대표적 요인으로 불법건축물을 꼽고 있다.

 

지난 튀르키예 정권에서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힌 정권을 심판하고 정권을 잡게 된 이번 튀르키에 정부는 지진세를 징수하였음에도 불법건축물을 방치하고 구조 시스템 구축에 실패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하여 튀르키예 뿐 아니라 다양한 국가와 한국에서도 불만에도 불법은 단호히 처리하며 원칙을 중시해 시민의 안전을 우선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진 시 행동요령---------------------------

 

평소대비 지진 발생 대비를 위해 평소에는 집 안에서의 안전을 확보하며, 집 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하고 비상 용품을 잘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특히 탁자 아래와 같이 집 안에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하고 지진 발생으로 인해 유리 등이 깨졌을 경우를 대비해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또 가스 및 전기를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 가족끼리 공유하며, 머물고 있는 곳 주변의 넓은 공간을 미리 파악하여 대피 경로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족끼리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 만날 곳과 연락할 방법을 정해두고, 응급처치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익히는 것이 좋다. 지진 발생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하고 사용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지진 발생 시 지진이 발생하면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1~2분 정도이므로 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해야 한다.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으면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좋다. 흔들림이 멈춘 후 화재를 대비하여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다.

 

집에서 나갈 때는 유리파편 등에 다 칠 수 있으므로 신발을 꼭 신고 나가도록 하며,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 해야 한다.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고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 하는 것이 좋다. 지진 발생 후 소문,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어 라디오나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좋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성남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 대상 ‘2025년 한국어교육 3학기’ 운영 및 백일장 대회 개최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국내 거주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2025년 한국어교육 3학기 과정’이 순조롭게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학기는 2025년 9월 15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되며, 총 5개 반 70명의 수강생이 참여하고 있다. 과정은 수준별(초급1·초급2·중급1· 중급2)과 목적별(실용한국어·토픽)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전·오후·야간반으로 나뉘어 학습자의 여건에 맞게 운영 된다. 특히 올해 새로 개설된 중급 2단계 과정은 한국사회 적응과 진학, 취업을 준비하는 결혼이민자들에게 보다 심화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한국지역난방공사의 후원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한국어 백일장 대회’는 올해로 5회를 맞았다. 지난 4년간(2021~2024) 총 362명이 참여해 62명이 수상했으며, 올해 대회에는 136명이 참가해 그간의 한국어 학습성과와 진솔한 이야기를 글로 풀어냈다. 시상식은 11월 4일 신구대학교 식물원에서 열리며, 총 20명의 수상자가 상장과 상금, 꽃다발을 받는다. 또한 수상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수강생이 초대되어 서로를 응원하며 성과를 함께 나누고, 원예 문화체험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성남시가족센터, 9월 모두가족봉사단 멘토-멘티 추석맞이 화과자 쿠킹체험 진행

성남시가족센터(센터장 송문영)는 2025년 9월 27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1시까지 작은사랑성남지역 아동센터에서 모두가족봉사단 멘토-멘티 28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화과자 쿠킹체험’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명절을 맞아 세대 간 정서적 교류를 강화하고,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체험은 프리미엄 수제 화과자 공방 ‘서화연’의 대표를 초청해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먼저 화과자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배우고, 다양한 색의 반죽과 앙금을 사용해 직접 화과자를 빚었다. 이어 마지팬 도구와 모양틀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동물 3종, 꽃·과일 3종 등 총 6가지 디자인을 완성 했다. 완성된 화과자는 개별 박스에 포장하고, 전통 매듭법을 이용한 보자기 포장 체험으로 프로그램을 마무리했다. 성남시가족센터는 “추석이라는 명절의 의미를 함께 나누며 멘토와 멘티가 서로 협력하고 정을 쌓는 시간을 가졌다”며 “앞으로도 가족 간 유대와 지역 사회의 따뜻한 나눔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문의는 가족지원팀(☎031-755-9327, 내선 1번)으로 하면 된다.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 램을 준비했다. ■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은 10월 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열리며, 꼬지전·산적·호박새우전 등을 함께 만든다. 신청은 9월 2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QR코드 또는 센터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가능하다. 준비물은 앞치마이며, 문의는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컴퓨터 주말반 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인 ‘컴퓨터 주말반’도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총 6회 이며,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센터 3층 디지털교육장에서 열린다. 엑셀 집중과정으로 진행되며,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외국인주민 등이 참여 할 수 있다. 접수는 10월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 15명을 모집하며, 홈페이지 또는 QR코드를 통해 신청 가능 하다. 문의는 사업3팀(☎ 031-631 2267)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