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an City (mayor Yoon Hwa-seop) received proceeds of 535,500 won from the Bazaar event from the Municipal Gojan Daycare Center on the 13th. The Municipal Gojan Daycare Center, located in Danwon-gu, has been practicing continuous sharing by donating profits from bazaar selling stationery, clothing, and toys brought by its students for three years. The donations donated on this day will be used for neighbors in need through the Gyeonggi Social Welfare Community Chest. An official from the daycare center said, "I was proud and grateful that children could participate in sharing activities to hel
2021년 12월 5일 토요일과 6일 일요일에 이틀에 걸쳐 김포 통진두레문화센터에서 제11회 경기다문화연극제가 개최됐다.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연극단 단원 6명은 모두 중국출신이며, 3월 중순부터 연습을 시작했다. 한국연극협회 시흥지부 협회장의 연극 지도 및 연출로 열심히 연습해왔다. 코로나19로 인해 연습이 중단되고, 단원이 바뀌기도 했으나, 합심하여 연습에 임했다. 경기다문화연극제는 경기도에 있는 7개 시에서 참여했으며, 시흥시 다문화연극단은 12월 5일 토요일에 ‘금닭이다! 금닭!’ 공연을 진행했다. ‘금닭이다! 금닭!’ 내용은 시흥시의 향토유적인 황금깃털을 가진 닭은 키운 생금집의 이야기이며, 욕심을 부리지 않고 성실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교훈을 지니고 있다. 다문화연극단원들이 한국 전통의상을 입고, 시흥시 향토유적에 대한 공연을 하니, “시흥에 저런 향토유적이 있는지 몰랐네요. 한국 사람들이 공연하는 것보다 배로 감동이에요.”라며 칭찬이 자자했다. 12월 6일 일요일에 진행된 시상식에서는 3개의 상을 수상했다. 개인상으로는 이소진님의 연기대상과 임해화님의 우수연기상을 수상했으며, 단체상으로는 1등 상인 최고작품상을 수상했다. 연극을 너
시흥시가족센터는 지난 2일(목) 결혼이민자 역량강화지원사업으로 '2021년 하반기 한국어교육 온라인 수료식'을 진행하였다. 한국어교육 수료식은 강은이 센터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교육과정을 마친 수강생들 모두가 함께 축하하고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더불어 7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 동안 결석 없이 열심히 참여한 10명의 수강생과 성적이 우수한 6명의 수강생에게는 개근상과 성적우수상을 시상하며 수료식의 활기를 더했다. 아울러, 올 한 해 동안 한국어교육을 지도했던 강사들은 수업에 참여한 64명 학생들을 위해 진심 어린 축하의 인사를 전하였다. 하반기에 진행된 한국어교육은 웹엑스(webex)플랫폼을 활용하여 말하기반, 지역문화활용과정, 토픽읽기, 토픽쓰기 등 총4개 과정으로 운영되었다. 코로나19로 직접 대면수업이 진행되지 못한 아쉬운 점이 있었지만,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강생들에게 목적별 한국어과정을 고루 개설하여 다양한 학습기회의 장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시흥시가족센터는 내년에도 온·오프라인에서 한국어 및 한국문화이해 교육을 통한 결혼이민자의 역량강화지원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의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힘쓸 계획이다.
김포문화재단은 지난 2일 '김포국제조각공원 컨퍼런스'를 온·오프라인 동시 운영 형태로 김포국제조각공원 세미나실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포문화재단 주최·주관 김포국제조각공원 컨퍼런스는 ‘조형예술의 미래와 김포국제조각공원의 발전 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김포시의 원로 조각가와 지역 미술가, 미술평론가 및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였다. 이동용 대진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았으며, 김정희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교수의 ‘공공미술의 의미와 발전방향’ 주제로 컨퍼런스 발표가 시작되었다. 김정희 교수는 ‘주민들과 함께하는 커뮤니티 공간을 확충하고,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획자를 통해 계획적인 공간 활용을 제안한다’며, ‘일부 공간에서 보고 끝나는 작품이 아닌, 함께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이벤트가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방향이라 생각한다’고 발전 방안을 밝혔다. 뒤이어 최기영 경기문화재단 책임학예연구사, 최진하 뮤지엄 산 연구원의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최진하 연구원은 SNS를 통해 포토존으로 홍보 효과와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작품 설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장기적으로 김포조각공원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김
시흥시가족센터는 8월 21일부터 11월 27일까지 매주 토요일 13시에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던 ‘가족행복학교-패밀리셰프’를 마무리했다. 본 프로그램은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내 문화프로그램으로 가족 간의 친밀감 향상과 또래를 양육하는 사례가정들이 함께 모여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면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던 본 프로그램은 코로나19 확산예방을 위해 각 가정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비대면 전환되었으며,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들은 활동을 마무리하며 가족들과 함께 요리를 하고 온라인상으로 또래들과 소통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었다고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들은 내년에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될지 기대감을 가지고 마무리 하였으며, 참여자 중 윤OO씨는 “아이가 너무 좋아해요. 매주 토요일만 기다리고, 계속 하고 싶어 하는데 끝나서 아쉬워요. 다음에 요리활동 말고도 다른 것을 한다면, 또 참여하고 싶어요.”라며 프로그램 마무리의 아쉬움과 참여 만족도를 나타냈다. 위 프로그램은 시흥시가족센터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는 가정들로 구성되었으며, 사례관리에 대한 문의는 시흥시가족센터 통합사례관리팀 070-4235-8262로 가능하다.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강은이)에서는 지난 11월 27일 토요일 시흥시에 거주하는 자녀돌품앗이 활동가 121가족을 대상으로 “자녀돌봄품앗이 연합활동 온라인 운동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비대면 운동회는 코로나19로 대면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운동회를 통해 시흥시 자녀돌봄품앗이 그룹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집에서 가족이 함께 하는 신체활동 시간을 통해 자녀와의 친밀감 증진 및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모할 수 있도록 실시간 줌으로 진행되었다. 본 행사는 총 2회기로 60가족씩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운동회는 준비체조와 양팀 응원전을 시작으로 4개의 종목 경기와 퀴즈쇼, 레크레이션, 공연(마술, 댄스) 관람을 통해 가족이 함께 소통하고 연합하며 하나되는 시간으로 참여자들의 높은 호응과 뜨거운 관심을 얻을 수 있었다. 품앗이 참여가족은“코로나19 속에서 같이 만나기 어려웠던 품앗이 가족들의 얼굴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비대면으로 운동회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고 많은 가족들이 함께 즐기면서 호응하는 모습에 저희 가족도 즐겁게 참여했어요.”,“운동회를 통해 가족이 함께해서 뿌듯했고 함께하는 시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느낀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강은이)는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과 함께 협업하여 예비초등학교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 18일(센터), 11월 24일(시화유치원) 총 2회에 걸쳐 초등학교 입학설명회를 진행하였다. 이번 입학설명회는 다문화가정 학부모에게는 취학 전 학교생활 안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력을 강화하고 결혼이민자에게는 한국교육제도에 대한 이해능력을 향상시켜 부모역할 역량을 강화하고자 기획되었다. 진행순서로는 시흥시가족센터 지원안내, 다문화학생 입학설명 및 초등학교 생활적응안내, 군서미래국제학교 교육과정안내, 마지막으로 질의응답시간을 가졌다. 또한 중국, 베트남, 몽골 3개국 통역을 지원함으로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데 불편함을 최소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의응답 시간에는 “초등학교 입학설명회에 아이를 꼭 데려가야 하나요?”. “생일이 느려도 입학통지서가 올해 나오나요?”, “입학 시 필요한 서류는 학교마다 다르나요?”등 다양한 질문이 나왔고 강사의 자세한 답변과 통역을 통해 자녀의 학교생활 궁금증을 해소했다는 평을 받았다. 참여자 김○○씨는, “첫째아이라서 학교에 가서도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았는데 강사
시흥시가족센터는 ‘배라맘’에서 후원하는 물품으로 따뜻한 겨울을 맞이할 수 있게 되었다. ‘배라맘’은 시흥 배곧동을 중심으로 아이를 양육하는 엄마들의 고민을 나누는 인터넷 카페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는 월곶동, 정왕동 등 많은 지역이 참여하여 공동체가 점점 확산 되고 있다. 위 카페는 크고 작은 나눔을 통해 다양한 기관 및 지역사회에 후원을 하고 있으며, 이 물건은 시흥시 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에게 전달되어 도움이 되고 있다. ‘배라맘’은 이번에도 시흥시가족센터에 물품을 후원하여 시흥시 내 취약계층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마음을 전하였으며, 후원을 받은 시흥시가족센터는 어려운 시국에 정기적으로 후원해주는 ‘배라맘’에게 감사인사를 전한 후,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 중 취약가정에게 물품을 후원할 예정이다. 시흥시가족센터 통합사례관리팀은 시흥시에 거주 중인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가정을 대상으로 가정의 욕구를 함께 해결하는 사례관리 서비스를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후원물품 전달 이외에 교육적, 주거적, 의료적, 법률적, 사회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14시부터 15시까지 온라인으로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하반기 종강식이 진행했다. 7월 12일부터 시작한 하반기는 1단계, 2단계, 3단계, 검정고시(국어)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46명 중 38명이 참석했다.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강은이 센터장이 수강생들에게 한국어를 성실하게 공부하여 앞으로 더욱 한국 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종강식이 시작됐다. 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한 안내 후에 수강생들의 개인 사진 및 편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수업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친밀감을 많이 쌓지 못했지만, 개인 사진 및 편지로 서로의 안부를 묻고 한국 생활에 대한 모습을 공유할 수 있었다. 그 이후에는 상장 수여 시간을 가졌다. 개근상 5명, 성적우수상 7명의 수상이 진행됐으며, 수상자들은 수상 소감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어 배워서 재밌었어요. 이제 한국어 조금 잘 할 수 있어요.”, “선생님 너무 고맙습니다.”라며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과 강사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종강식을 마무리하며 강사는 “온라인으로 종강식이 원활하게 진행이 될까 걱정이 많았는데
2021년 12월 2일 목요일 10시부터 14시까지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앞마당에서 LH광명시흥사업본부와 함께하는 2021년 다문화가족 김장나눔 행사를 진행했다. LH광명시흥사업본부의 후원금과 자원봉사 활동으로 행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김장행사에 참여한 결혼이민자 15명과 LH광명시흥사업본부 자원봉사자 22명이 참석하여 김치를 버무리는 시간을 가졌다. 김치를 처음 해보는 참여자들에게 버무리는 방법을 설명해주니, 참여자들은 주의 깊게 듣고 배운대로 김치를 열심히 버무렸다. 김치를 버무리며 오랜만에 만난 참여자들이 모국어로 소통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또한 LH광명시흥사업본부 자원봉사자와 출신국 이야기, 한국 적응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500kg의 김치를 담궜다. 참여자들의 얼굴, 마스크, 옷에 김치 양념이 많이 묻었지만 얼굴에는 웃음꽃이 만발했다. “허리가 조금 아프지만, 김치 담그는 경험을 해보니 너무 재밌었어요. 김치를 가져갈 수도 있어서 남편이 좋아할거에요~”라며 만족해했다. 행사에 참석하기 어렵지만, 김장 김치가 꼭 필요한 시흥시 취약계층 다문화 35가정에는 직접 김치를 전달하기도 했다. 김치를 전달하기 위해 방문한 한 가정에서는 대문
이제는 글로벌시민 사회입니다. 한 나라 한 민족으로는 존재할 수 없고 다양한 문화가 어울리고 다양한 인류들이 함께 만든 사회에서 함께 살고 있습니다. 법무부 통계상 2024년에 한국 체류 이주민 2,616,007명으로 전년 대비 6.6%가 증가하여 있는데 앞으로 증가상세만 있을 전망입니다. 반면에 한국인들도 해외이민자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글로벌 시민사회에서 모두가 안전하고 건강한 평등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야 합니다. 정부에서 2004년부터 고용허가제로 3D 업종인 위험하고 힘든 사업의 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용허가제 도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제도는 국내에서 한국인을 구할 수 없는 중소기업사업의 인력난을 해결하려는 제도이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의 입장에서도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본국을 떠나 가족 없는 외국으로 찾아 온 사람들입니다.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먼저 마주쳐야합니다. 사업장에서도 미숙한 업무를 위험하고 힘들게 일을 해야 합니다. 고용허가제의 이주노동자들이 처음은 한국에서 3년 일하다 1년 10개월을 체류 연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실근로자 제도로 재입국하고 또 4년 10개월을 일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처음 도착하고 일하면서 찾아
최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생활인구 조사는 가평군에 큰 희망을 주는 결과로써 주목된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 가평군의 생활인구(등록인구+체류인구)는 106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중 체류인구는 99만8,900여명에 달했다. 특히 체류인구는 가평군 등록인구(6만2,000여 명)의 15.6배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체류인구 증가는 지역 경제에 큰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체류인구는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가평지역에 머문 인구로, 이는 가평군의 경제적 활력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가 된다. 통계청 조사 결과 체류인구 1인당 체류지역에서의 평균 카드 사용액은 11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가평군 체류인구 수(99만8,900여명)에 적용하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한달 1,098억 원에 달한다. 체류인구의 효과를 최대한 보수적으로 낮게 잡아도 1달 약 300억 원의 소비창출 효과가 있다. 가평군이 올해 5~6월 개최한 ‘자라섬 봄꽃 페스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체류인구 1인당 소비금액은 약 3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체류인구 99만 여명이 가평군
나는 신년사에서 2024년 화두를 용섭대천(用涉大 川겸손하며 덕을 갖춘 자가 큰 강을 건넌다.) 으로 정하고, 시민의 곁에 다가가는 현장 행정을 중심으로 국내외 판로개척과 자금지원을 통해 관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래, 해보자) 2024년 비전을‘기업애로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수요자 중심 맞춤형 시스템 운영과 기업이 체감 할 수 있는 기업활동 여건 개선’으로, 추진 방향 을‘현장 행정, 밀착 행정, 체감 행정, 홍보 행정’으로 계획하고, 속도감 있게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추진했다. 1,236개 사업체의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이 담긴 서한문을 발송했고, 경제 불확실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체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지원 시책이 담긴 책자도 발송해 주었다. (정보의 신속 전달은 필수) 중소기업의 경영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경기도와 공공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설명회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체 대표와 임직원의 기업활동 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무엇보다 설명회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등 전문가 집단을 활용했다. 모두 인사에서 시장을 바
기업유치에 이천시의 미래가 달려있다. 이에 발맞춰 이천시도 기업유치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천시의 각오는 남다르다. 첨단미래추진단을 신설하여 9년 만에 투자유치팀을 부활시키고, 허가 부서의 일부 업무였던 산단조성 업무를 팀을 신설하여 확장하는 등 튼튼한 기반 조성을 통해 이천시와 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특히 5월 9일 「이천시 투자 유치 촉진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면서 기업투 자유치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내외 기업의 관내 투자유치를 촉진하고,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도시로 거듭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조례에는 투자비가 200억 원 이상인 기업에 대해 최대 30억 원 보조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투자 기업 특별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천시는 대한민국 경제를 선도하는 첨단기업인 SK하이닉스를 포함한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입지해 있고, 서울과 1시간 거리에 위치하면서 동서남북으로 연결되는 고속도로와 내륙지방을 연결하는 철도교통망 등 다양한 장점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수도권 규제로 인해 기업 유치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타 지자체와 비교해 보아도 확연히 차별
이제 한국은 과거의 한국이 아니다 한국은 이미 일본을 추월했다! 최근 들어 많은 해외 전문기관들이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발표한다. 국력과 경제수준에서 일본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한국 에너지가 분출되는 건 이제 시작점이다. 굴욕적인 친일에 빠진 윤 정부는 물론, 한국을 가볍게 보는 미국도 이런 한국의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 지금 한국 사회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최근 윤 정부가 초래한 여러 파탄에 국제 차원의 고의성은 없는가에 있다. 한국이 일본을 추월했다는 발표는 2022년부터 나왔다. 세계에서 한국의 종합 국력은 6위이며, 일본은 한국의 발아래인 8위다(미국 와튼스쿨, 뉴스 앤월드 리포트). 경제수준에서도 한국은 일본을 이미 추월했다(IMF, 2017). K팝 등 폭넓은 한류를 비롯하여 대중문화와 과학기술에서도 대단한 주목을 끌고 있다. 수많은 서방 싱크탱크들은 일찍부터 한국의 미래를 장밋빛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 등 여러 전문기관들은 일찍부터 한국이 21세기 중반 유럽 선진국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고 앞 다투어 전망해왔다. 아직 정치 경제 분야나 빈부격차와 부패 등에서 아쉬운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그리고 세계 최대 선진시장인 미국과 손잡는건 당연하지
‘민생파탄–친일-혐중’의 삼각함수 ‘민생 파탄’앞에 총선 결과가 주목된다. ‘875원 대파쇼’에 국민들은 혀를 찬다. 더불어 민주당은 ‘심판’을 외치고, 조국혁신당은 ‘3년은 길다’고 직격탄을 날린다. 민생파탄의 원초적 이유는 수출부진이다. 우리에게 수출이 무엇인가? 수출로 먹고살고, 선진국 문턱도 넘은 수출 대국이다. 수출이 막히면 민생은 길이 없다. 어떤 해외시장도 우리에겐 소중 하다. 그런데 물이 거꾸로 흐른 걸까?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에 주먹질한 사람이 최고 권력을 거머쥐었다. 윤석열 정권은 ‘수출’보다 ‘반공’이 먼저다. ‘중국이 싫다!’ 이런 정치 구호는 이 세상에 한국뿐이다. 지금 미 재무장관은 5박6일 중국에 가있고, 독일 총리 숄츠도 이달에 중국에 간다. 왜 가냐고 물으면 바보다.‘혐중’에 ‘친일’을 덧붙이는 게 윤정부다. 친일과 혐중을 내걸고 수출부진과 경기침체를 거쳐 ‘민생파탄’을 불러들였다. 보수 권력은 왜 이런 무모한 길을 택했을까? 그들은 부르짖는다.‘친일은 미일동맹 합류에 중요했고, 혐중은 미중 사이에서 미국편을 드는데 필요 하다.’친일이 민족 정통성을 흔들고, 혐중이 중국 시장을 해친다는 건 그들의 안중에 없다. 그러나 ‘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센터장 손녕희)는 2025년 1월 19일(일)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센터 1층 교육실에서 '2025년 제1차 공동체 리더 회의' 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는 각국의 외국인 주민을 대표해 활동 할 공동체 리더 임명식과 연간 활동 계획 수립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회의는 9개국에서 나라별 3명씩 선발된 27명의 공동체 리더와 센터장, 외국인주민지원팀장, 담당자, 화성시복지재단 관계자가 참석해 다문화 공동체의 연대와 화합을 다지는 자리가 되었다. 손녕희 센터장은 공동체 리더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며 임명장을 수여했다. 리더들은 지역사회의 다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을 다짐하며 앞으로 의 활동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손 센터장은 “공동체 리더들과 함께 다문화 사 회의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가겠다”며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포부를 전했다.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23일 화성시자원봉사센터 회의실에서 2025년 외국인 무료진료사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104만 특례시’로 도약한 화성시가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취약계층의 건강 돌봄을 강화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화성시 의료나눔 봉사단 소속 15개 기관이 참석해 참여 기관 간 협력과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화성시 의료나눔 봉사단은 관내 의료 취약계층에 무료 진료 및 건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내 병원급 의료기관 등이 2023년 자발적으로 구성한 의료봉사단체다. 간담회에서는 ▲효율적인 진료 일정 조율 ▲진료 접수 및 대기 절차 개선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홍보 강화 ▲참여 기관별 역할 분담 등 체계 적인 봉사단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됐다. 올해부터는 관내 대학교 의료봉사팀이 봉사단에 새롭게 합류해 17개 이상의 기관이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의 료서비스를 제공하며, 짝수 달 셋째 주 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정기적으로 무료 진료 봉사를 운영한다. 주요 참여기관으로는 동탄시티병원, 원광종합병원, 화성 제일요양병원, 디유치과, 대한물리치료사협회, 화성시약 사회, 화성시서부보건소 등의 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