ハングルの日は世宗大王が訓民正音を作った日を記念する日だ。 ハングルの日の最初の名前は1926年に「ガギャの日」と始まり、1928年にハングルの日という名前に変えた。 光復後、陽暦10月9日に確定し、2006年に祝日に指定された。
また、世宗御製序文とハングルの製作原理が盛り込まれた訓民正音は国宝第70号に指定されており、これは1997年10月ユネスコ世界記憶遺産に登録された。
訓民正音が創製されるまで、民は漢字で文を書か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一般の民から中国の文字である漢字は学びにくく、韓国語を正確に移すことも難しい文字だった。
文字がなくて文字をまともに書くことができなかった民を哀れに思った世宗大王は、集賢殿の学者たちと共に民が簡単に学び書ける訓民正音を作った。
ハングルは簡単に子音と母音の結合ですべての音を作り出すことができる非常に実用的な文字だ。 口腔構造を真似て作ったので、誰でも簡単に学ぶことができ、使うことができる。 ハングルのおかげで韓国国民の文盲率は2%で未満で、全世界で最も文盲率が低い国の一つだ。
訓民正音は世宗大王25年、すなわち西暦1443年に完成し、3年間の試験期間を経て世宗28年の西暦1446年に世の中に頒布された。
しかし、ハングルが頒布された後、一般民が使用するまで長い時間がかかったという。 朝鮮の士大夫階層が長い漢字、漢文生活に浸っていて、燕山君の時のハングル弾圧以後、ハングルは女の人たちが書く文字に転落した。
しかし開化期以後、多くの国語学者の努力でハングルが新聞、雑誌などに広く使われるようになり、日帝強占期末期に韓国語抹殺政策で大きな危機を迎えたが、光復と共に韓国語とハングルを安心して教え学ぶようになり今日に至ったという。
ハングルを記念する「2022年ハングルの日法定公休日」にハングル創製とその優秀性を称え、ハングルのありがたさをもう一度感じてみてはいかがだろうか。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유미코 시민기자ㅣ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드신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한글날의 첫 이름은 1926년 ‘가갸날’이라고 시작되어 1928년 한글날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고, 2006년에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 서문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까지 백성들은 한자로 글을 적어야 했다. 일반 백성에게 중국 문자인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우리말을 정확하게 옮기기도 어려운 문자였다.
글자가 없어 글을 제대로 쓰지 못한 백성을 불쌍히 여긴 세종대왕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한글은 간단하게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모든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아주 실용적인 문자다. 구강구조를 본떠서 만들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쓸 수 있다. 한글 덕분에 우리나라 국민의 문맹률은 2%로 미만으로 전 세계에 가장 문맹률이 낮은 나라 중 하나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하지만 한글이 반포된 후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조선의 사대부계층이 오랜 한자, 한문 생활에 젖어있었고, 연산군 때의 한글 탄압 이후로 한글은 아녀자들이 쓰는 글자로 전락했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 많은 국어학자의 노력으로 한글이 신문, 잡지 등에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일제 강점기 말기에 우리말 말살 정책으로 큰 위기를 맞이했지만, 광복과 더불어 우리말과 한글을 마음 놓고 가르치고 배우게 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한다.
한글을 기념하는 '2022년 한글날 법정 공휴일'에 한글 창제와 그 우수성을 기리며, 한글의 고마움을 다시 한번 느껴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