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たい焼き価格の上昇と物価、2023年の経済赤信号を予告

붕어빵 가격 상승과 물가, 2023년 경제 빨간불 예고

 

物価上昇率3.5%予測、しかし公共料金および家計経済物価上昇に

電気、ガス料金の引き上げにより外食、加工食品などの品目引き上げに広がる恐れがある。

 

小麦粉の生地に小豆などを入れてたいの形に焼いたパンであるたい焼きは、冬の街でよく見かけるおやつだ。

 

「駅チカ(駅制圏)」と「たい焼き」の単語を合わせた「ブンセ圏」という新造語が登場したりもし、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で路上たい焼き販売店を知らせるなど庶民おやつとして定着したたい焼きは、千ウォン一枚で販売されることが多かった。

 

千ウォン一枚で買って食べられるたい焼きは、2021年までに1000ウォンで3個をくれるところが多かった。 しかし、2022年に入って1000ウォンで2個に減った。 たい焼きに入る小麦粉など原材料の価格が上昇したため、価格に急騰したのだ。

 

KAMIS(農産物流通情報)の物価情報を見ると、小麦粉は前年同月比60.2%上昇した。 食用油(64.4%)、砂糖(28.2%)、牛乳(5.3%)などの価格も値上がりした。 たい焼きの価格は材料と燃料価格が決めるため、材料が上昇すればたい焼きの価格も上がるしかない。

 

1000ウォンのおやつだったたい焼きの原価負担が高まり、冬場はありふれた露店も減っている。 毎年原価負担が大きくなり、薄利多売でたい焼きを販売していた方式が利潤を残すことが難しくなったためだ。

 

物価上昇だけでなく、たい焼き露店がチェーン店形式に変化しているのも露店減少の主要要因だ。 チェーン店形式に変化すれば、材料を業者から供給してもらい、その分流通価格がついて商人たちのマージン率が下がるためだ。

 

続いている高物価と高金利の余波が、庶民おやつであるたい焼きとホットクにも、最近続いている高物価の余波がたい焼き·ホットクなど冬季庶民おやつにも及んでいるのだ。

 

10年間たい焼きを焼くある商人は「物価が全て上がってたい焼きの価格を上げなければならないが、昨年と同じ価格で受け取っている」として「難しい時期を皆で乗り越えたいため」と伝えた。

 

一方、政府は2023年に電気、ガス料金の引き上げを公式化し、これによる外食、加工食品などの品目に物価上昇が広がる可能性を示唆した。 また、地方自治体の財政状況正常化のために地下鉄、バス、ゴミ袋などの料金を引き上げるべきだという声も出ている。

 

2022年消費者物価上昇率である5.1%より低い3.5%で物価上昇率を予想した政府だが、公共料金引き上げ幅により予想値を抜け出すことができるというのが専門家の意見だ。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유미코 시민기자ㅣ물가 상승율 3.5% 예측, 그러나 공공요금 및 가계경제 물가 상승할 것으로

전기, 가스 요금 인상에 따라 외식, 가공식품 등 품목 인상으로 번질 우려

 

밀가루 반죽에 팥 등을 넣어 붕어 모양으로 구운 빵인 붕어빵은 겨울철 길거리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간식이다.

 

‘역세권’과 ‘붕어빵’ 단어를 합친 ‘붕세권’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했으며, 스마트폰 어플로 길거리 붕어빵 판매점을 알려주는 등 서민 간식으로 자리 잡은 붕어빵은 가슴 속 천 원 한 장을 품고 다니게 했다.

 

천원 한 장으로 사 먹을 수 있던 붕어빵은 2021년까지 1000원에 3개를 주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2022년에 들어 1000원에 2개로 줄어들었다. 붕어빵에 들어가는 밀가루 등 원재료의 값이 상승했기 때문에 가격에 급등한 것이다.

 

KAMIS(농산물 유통정보)의 물가 정보를 보면 밀가루는 전년 동월 대비 60.2% 상승했다. 식용유(64.4%), 설탕(28.2%), 우유(5.3%) 등의 가격도 올랐다. 붕어빵 가격은 재료와 연료값이 정하기 때문에 재료가 상승하면 붕어빵 값도 오를 수 밖에 없다.

 

1000원짜리 간식이었던 붕어빵의 원가 부담이 높아지면서 겨울철 흔했던 노점들도 줄고 있다. 매년 마다 원가 부담이 커져 박리다매로 붕어빵을 판매하던 방식이 이윤을 남기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뿐 아니라 붕어빵 노점이 체인점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도 노점 감소의 주요 요인이다. 체인점 형식으로 변화하면 재료를 업체로부터 공급받고 그만큼 유통가격이 붙어 상인들의 마진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계속되는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가 서민 간식인 붕어빵과 호떡에도 최근 계속되고 있는 고물가 여파가 붕어빵·호떡 등 겨울철 서민 간식에도 미치고 있는 것이다.

 

10년 째 붕어빵을 굽는 한 상인은 “물가가 모두 올라 붕어빵 가격을 올려야 하지만 작년과 같은 값으로 받고 있다”며 “어려운 시기를 다 같이 이겨내고 싶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2023년 전기, 가스 요금 인상을 공식화했으며 이로 인한 외식, 가공식품 등의 품목으로 물가 상승이 번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 정상화를 위해 지하철, 버스, 쓰레기봉투 등의 요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022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인 5.1%보다 낮은 3.5%로 물가상승률을 예상한 정부지만, 공공요금 인상 폭에 따라 예상치를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이다.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이천시가족센터, 10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 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 램을 준비했다. ■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이천시가족센터는 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모듬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은 10월 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열리며, 꼬지전·산적·호박새우전 등을 함께 만든다. 신청은 9월 2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QR코드 또는 센터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가능하다. 준비물은 앞치마이며, 문의는 사업3팀(☎ 031-631-2267)으로 하면 된다. ■ 컴퓨터 주말반 교육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인 ‘컴퓨터 주말반’도 운영된다. 교육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총 6회 이며,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센터 3층 디지털교육장에서 열린다. 엑셀 집중과정으로 진행되며,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외국인주민 등이 참여 할 수 있다. 접수는 10월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 15명을 모집하며, 홈페이지 또는 QR코드를 통해 신청 가능 하다. 문의는 사업3팀(☎ 031-631 2267)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경희대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공동 운영

수원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유경선)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어학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지원과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해 공동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원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 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학생 10명이 멘토로 참여한다. 아동들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학습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나누게 된다. 특히,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도와 함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단순한 공부 지원을 넘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멘토링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업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 개최

보령시가족센터는 지난 26일 제13회 ‘따로 또 같이’ 다문화 인식개선 화합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년째 이어져 온 이번 행사는 내·외국인 500여 명이 참여한 보령 지역 최대 규모의 다문화 축제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체험과 공연을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공감대를 한층 더 확산시켰다. 행사는 명천실버복지관의 사물놀이 공연과 명천어린이집의 율동 무대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식에서는 지역 내 다문화가족 복지 증진에 기여한 유공 단체와 개인, 다문화가족 지원 유공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보령시여성인력개발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 유공자들의 숨은 노고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을 조명하고,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시민 참여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18개의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3개국 세계놀이 체험’에서는 ▲한국의 투호와 제기 ▲베트남의 따가오 ▲일본의 다루마오토시와 긴교스쿠이 등 전통놀이를 통해 각국의 문화적 특색을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