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The Origin and Traditional Games of the Brightest Full Moon Day, Jeongwol Daeboreum

가장 밝은 보름달이 뜨는 날,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전통놀이

 

Jeongwol Daeboreum is one of Korea's traditional holidays, falling on the 15th day of the lunar calendar's first month, which is the day when the brightest full moon rises. It carries the meaning of welcoming the new year under the light of the full moon and making wishes for desired outcomes.

 

Jeongwol Daeboreum is rooted in ancient society's astronomical knowledge and agricultural culture. It signifies the end of winter,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and the wishes for health and abundance, aiming to dispel evil spirits.

 

It served as a platform for communication, where people gathered to inquire about each other's well-being, share food, and wish for blessings in the coming year. Various folk games and food cultures accompanied Jeongwol Daeboreum, including tug-of-war, sheaf burning, kite flying, jwibullori, eating five-grain rice, and making lucky bags.

 

Tug-of-war is one of the most common traditional games. It involves pulling a long straw rope made from jute fiber, divided into two teams, with the aim of pulling it towards one's side, symbolizing the village's fortune and abundance.

 

Sheaf burning involves collecting and burning materials such as pine branches until the moon rises, often accompanied by lively dances around the fire. Since the full moon symbolizes abundance and fire symbolizes purification, it expresses the hope for a prosperous and worry-free new year.

 

Kite flying is a game where kites are flown into the sky, mainly from high hills and fields. Kite flying usually reaches its peak a few days before Jeongwol Daeboreum. By carving the word "fortune" on the kite and flying it, it symbolizes sending all the bad luck of the year away into the sky.

 

Jwibullori is a game where people make straw dolls in the shape of mice and burn them. This game symbolizes driving away mice, believed to bring harm to crops, and protecting the harvest.

 

The food eaten on Jeongwol Daeboreum symbolizes wishes for prosperity and health in the coming year. Five-grain rice is made with five types of grains: rice, barley, millet, beans, and sorghum. It symbolizes the hope for a prosperous and healthy year,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five grains.

 

 

 

 

(한국어 번역)

한국다문화뉴스 = 심민정 기자ㅣ정월대보름은 한국의 전통 명절 중 하나로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며, 이날은 한 해 중 가장 밝은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보름달의 빛을 받으며 새해를 맞이하고, 원하는 것들을 소망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정월대보름은 고대 사회의 천문학적 지식과 농업 문화에 근간을 두고 있다. 겨울철을 지나 새해 시작을 알리고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며 나쁜 기운을 쫓아내려는 취지에서 정월대보름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안부를 묻고, 음식을 나눠 먹으며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소통의 장으로도 기능했다. 또 줄다리기, 달집태우기, 연날리기, 쥐불놀이, 오곡밥먹기, 복주머니 만들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와 음식 문화와 함께했다.

 

줄다리기는 가장 흔하게 하는 전통놀이 중의 하나이다. 짚으로 만든 동아줄을 길게 늘어뜨려 두 편으로 나누어 자기 쪽으로 끌어당기면 이기는 놀이로 마을의 행운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 담겨있다.

 

달집태우기는 달이 떠오를 때까지 생솔가지 등 불로 태울 것을 모아 불을 태우며 노는 풍속이다. 꽃이 피어오르면 신나게 놀면서 주위를 돌고 놀기도 했다. 보름달은 풍요의 상징이고 불은 정화의 상징이기 때문에 풍요롭고 질병과 근심이 없는 새해를 맞이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연날리기는 연을 하늘로 띄워 노는 놀이로 주로 높은 언덕과 동산에서 많이 날린다. 보통 연날리기는 정월대보름 며칠 전 성황을 이룬다. 연에 '액'을 새겨서 '액연을 띄운다'라고 표현하며, 한 해의 모든 액을 하늘로 날려버리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쥐불놀이는 쥐가 농작물의 해를 끼친다고 여겼던 옛날 사람들이 쥐의 형상을 한 짚 인형을 만들어 태우는 놀이로, 쥐를 물리치고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의미가 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은 한 해의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먹는 음식이다. 오곡밥은 쌀, 보리, 조, 콩, 기장 등 5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으로, 다섯 가지의 곡식의 덕을 받아 한 해가 풍요롭고 건강하길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배너


배너
닫기

배너

기관 소식

더보기

평택시가족센터, ‘2025년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 전달식’ 개최

평택시가족센터(센터장 김성영)에서는 지난 3일(목) ‘2025년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 전달식을 가졌다. 이번 다문화가족 모국 방문 지원사업은 경기 사랑의열매 1억 원 이상의 여성 고액 기부자 모임인 ‘경기W아너클럽’ 지원을 통해, 경제적 여건 등으로 장기간 모국을 방문하지 못한 다문화가족에게 모국 방문의 기회를 제공하여, 결혼이민자의 향수병 극복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안정적 정착과 자녀 및 배우자의 문화 수용성 향상을 돕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전달식에는 다문화가족 27명(8가족)의 대상자에게 모국 방문에 필요한 경비와 함께 소정의 선물을 전달했으며, 베트남 1가족, 영국 1가족, 인도네시아 1가족, 중국 3가족, 필리핀 2가족이 10월까지 모국을 다녀올 예정이다. 모국 방문을 앞둔 한 대상자는 “그동안 고향이 그립고, 부모님이 보고 싶어도 여러 사정으로 모국에 가기가 쉽지 않았는데, 8년 만에 모국을 방문할 수 있게 되어 너무 행복하고 기회를 주신 가족센터와 경기W아너클럽에 정말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김성영 센터장은 “오랜 시간 모국을 방문하지 못한 결혼이민자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마음의 위로와 가족과의 소중한 추억을 만드는 뜻깊은

김제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도란도란 행복 소통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가족을 위한 ‘도란도란 행복 소통 프로그램’이 김제시가족센터 주관으로 2025년 7월 5일부터 26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운영되었다. 주말에 김제시 전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평일 생업에 바쁜 다문화가정, 특히 아버지들의 참여를 확대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가족 간 소통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협동 활동, 한국 전통문화 체험 경험 제공, 그리고 전래놀이와 레크리에이션을 접목한 가족 운동회 등으로 구성되어, 가족들이 함께 웃고 뛰며 서로를 이해하고 마음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참여한 한 가족의 아버지는 “바쁜 일상 속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느꼈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프로그램이 꾸준히 이어지길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장덕상 김제시가족센터장은 “이 프로그램이 단순한 여가를 넘어 다문화가족 간 정서적 연결과 상호 이해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가족 간 사랑과 이해를 키울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제시가족센터는 이번 행사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 유대 증진에 기여했으며, 향후에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가족 참여형 프로그램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천시가족센터, 7월 센터 소식 및 프로그램 안내

다양함을 통합으로 디자인하는 가족복지 전문기관, 이천시가족센터(센터장 박명호)는 다양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이천시에 거주 중인 만 12세 이하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언어평가, 언어 발달교육, 부모상담 및 교육,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외국인가족과 북한이탈주민도 신청 가능하며, 프로그램은 센터 내 언어발달교실에서 진행 된다. 언어발달 전문 인력이 개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부모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와의 소통 능력도 향상 시킨다. 신청은 중리동 행정복지센터 3층을 방문하거나 전화(070 4176-5151, 070-4866-0204)로 가능하다. ■ 진로계획 체험프로그램 ‘How to?’ 초등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이천시 거주 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8월 6일(수)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 지 성남시 한국잡월드 청소년체험관에서 진로계획 체험이 진행된다. 다양한 직업군 체험과 함께 진로상담 전문가의 특강을 통해 참가 청소년의 진로설계를 돕는다. 참가자는 오전 8시 40분까지 센터 앞으로 집결해야 하며, 신청은 6월 19일까지 온라인 접수로 진행된다. ■ 나만의 목공 소품 만들기 이천시에 거